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노화이론에 대해 정리해보시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Y8YT/btssk9BPTg8/LA0NglAxk870Kt8SJUMvT1/img.png)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성공적 노화란
2. 노화이론
1) 생물학적 노화이론
(1) 착오이론
(2) 면역이론
2) 심리학적 노화이론
(1) 자아개념 및 정체이론
(2) 발달과업이론
3) 사회학적 노화이론
(1) 구조기능주의와 노년학이론
(2) 갈등이론과 노년학이론
(3) 상징적 노화이론
4) 성공적 노화관련 제 이론
(1) 은퇴(분리)이론
(2) 활동이론
3. 시사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현대사회에서는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순한 생명 연장이 아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지적, 정서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지속하는 것이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복지사회를 만들어가는 초석이 되는 것으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새로이 부각되고 있는 것이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ing)의 개념이다. 이신영(2006)에 의하면 성공적 노화의 개념은 원래 서구에서 시작된 개념으로서 신 노년학(new gerontology)에서 비롯되었다고 하였으며, 성공적 노화란 노인들 스스로가 자신과 사회에 대한 성공적인 적응을 해나가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닌 문화적 가치를 포함하여 자세히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노화이론에 대해 정리해 보겠다.
Ⅱ. 본론
1. 성공적 노화란
한국의 고령화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을 정도로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2018년에는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14%를 넘는 고령사회에 진입하며, 2026년에는 그 인구가 20%를 넘어 초고령 사회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추세는 지속되어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 비율이 2030년에는 24%에 이르며, 2050년에는 37%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어 한국에서의 노인문제는 개인 또는 가족이 아닌 사회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한국에서 전체인구의 15%를 차지하는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에 출생한 집단)가 노년기에 진입하면서 베이비붐 세대의 노년기 삶은 개인적 차원에서도 중요할 뿐만 아니라 노인 부양에 대한 사회적 부담과 직결되기 때문에 사회적 차원에서도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베이비붐 세대는 산업화와 근대화의 성공으로 이전 세대보다 경제적 풍요 속에서 생활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들의 부모에 대한 부양책임을 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성인 자녀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때문에 정작 자신들의 노년기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순둘과 이현희(2012), 이은환 등(2015)의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가 이미 노년기를 보내고 있는 이전노인 세대보다 노후준비가 부족한 것은 물론 건강증진행위가 양호하지 못하다고 지적하며 베이비붐 세대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였다.
참고문헌
이인수(2009). 21세기 노인복지론. 서울: 대왕사.
최혜경, 공유경 역(2001). 성공적인 노화. 서울: 학지사.
이신영(2006). 국내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일고찰, 한국복지행정학회.
김재현(2013). 노인들의 여가 참여특성에 따른 우울감, 사회적응, 여가만족,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노화이론에 대해 정리해보시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산화비타민이 포함된 앰플의 활성산소 제거력 비교 보고서 (0) | 2023.08.30 |
---|---|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0) | 2023.08.29 |
지역사회 청소년시설(청소년문화의집, 청소 년수련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진로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이 프로그램의 강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개인 의견을 쓰시오. (0) | 2023.08.25 |
중학교 음악교과서 이해영역 비교 분석 연구 - 국악과 양약을 중심으로(교직 레포트 과제) (0) | 2023.08.25 |
혁신과 기술경영_카카오 기업 혁신 사례 연구 (0) | 202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