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전정신경염 케이스스터디 진단5개 간호과정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1. 사례연구 제목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사례선정의 의의
Ⅱ. 본론 : 문헌고찰
1. 질환에 대한 개요
2. 해부 및 생리 요약
3. 주증상 및 병태생리
4. 진단방법 및 감별질환
5. 치료 및 간호
6. 합병증 및 예후
7. 문헌고찰 결과 요약
Ⅲ. 사례연구
1. 사례연구 대상자에 대한 개괄적인 요약: 대상자의 건강력, 입원동기
2. 간호 사정을 위한 기초 자료의 요약
1) 일반적 사항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족력
5) 현재 질환과 관련된 입원 전 치료과정, 입원 후 치료과정
3. 신체검진 및 간호사정
4. 치료계획
5. 간호과정
Ⅳ. 결론 및 제언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1. 사례연구 제목
: Vestibular neuronitis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정신경염은 급성 일측성 말초성 전정장애의 대표적인 질환으로서, 급성 또는 아급성자발현훈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질환이다. 일반적으로 고막과 청력은 정상이면서 다른 신경학적 징후가 없는 급성 어지럼증 환자에게서 우선적으로 의심할 수 있다. 어지럼증을 주호소로 내원하는 환자들 중 양성돌발성두위현훈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어지럼증 클리닉을 찾는 환자들의 3~10%를 차지한다.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전정신경염 환자는 2015 년 5 만 7922 명에서 2019 년 6 만 5811 명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며 30 대, 40 대 환자 비율이 약 23%로 젊은 층에서도 많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정신경염은 신경학적 검사들과 검사실 검사들을 종합하여 전정신경염의 전형적인 임상 양상이 검사실 소견과 부합하지 않을 경우, 전정신경염과 유사한 증상 증후군을 유발하는 뇌간이나 소뇌의 국소 병변 가능성을 숙고하고 다른 가능한 질환을 배제하여 말초 전정신경염을 진단해야한다. 즉 전정신경염을 확진할 수 있는 단일 검사 방법은 없다. 때문에 이 보고서에서는 전정신경염의 다양한 진단검사 방법과 주요 증상,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 문헌 고찰
1. 질환에 대한 개요 (원인, 유발요인)
전정신경염의 발생기전으로는 제 1형 및 제 2형 단순포진바이러스,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와 같은 신경친화성 바이러 스의 잠복감염 후 재활성화가 일반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외에 전정미로의 자가면역성, 미세혈관의 허혈 손 상 등도 가능한 원인으로 언급되고 있다. 약 40%의 환자가 전정신경염이 발생하기 전 상기도감염, 위장관염, 등의 바 이러스 감염이 선행한다고 보고되며 전신적인 바이러스 감염과의 연관성도 대두되었지만 이를 입증할 근거는 부족하 다. 또한 배체트병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전정신경염 양상의 증상이 발현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전정신경염 환자의 주요 증상은 자발현훈, 오심, 구토 및 보행 불안이다. 어지럼증의 경우 환자의 50%이상이 밤에 발생하여 잠에서 깰때까지 지속되고 누워서 쉬면 편해지지만 머리를 움직일 때 어지럼증이 심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3. 김금순 외. (2020). 수문사
차영남, 장효순 외3명 저 『NANDA 간호진단과 간호중재가이드』, 현문사, 2019 p.102
Lewis 외(2020),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반재호, JAE HO, 안용휘.(2011).전정신경염에 대한 평가와 진단.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10(),3-8.
김성희. (2021). 급성 전정증후군의 감별 진단.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20(1), 7-16.
Jae-Myung Kim, Hyeon-Joong Park, Shina Kim and Seung-Han Lee. (2020). 독사교상 후 일측 전정신경염: 발생에는 인과관계가 있는가?.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19(4), 144-148.
약학정보원. 약학정보원. 2022. https://www.health.kr/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전정신경염 케이스스터디 진단5개 간호과정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술실 케이스, Myomectomy(자궁근종절제술), 수술과정, 수술 중 간호, 회복실 간호, 합병증, 간호중재 (0) | 2023.08.25 |
---|---|
모성 case study 조기양막파수 Brenda Patton 간호과정 1개 '양수 파막으로 인한 감염위험성' (0) | 2023.08.25 |
정신간호학 조현병 대상자 case 케이스 (0) | 2023.08.24 |
신부전 AKF 케이스스터디(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감염 위험성, 체액 불균형, 무력감, 불안정한 정서조절 (0) | 2023.08.24 |
자궁근종 절제술 케이스~! 꼼꼼하게 작성하였습니다! (0) | 202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