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신부전 AKF 케이스스터디(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감염 위험성, 체액 불균형, 무력감, 불안정한 정서조절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신부전 AKF 케이스스터디(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감염 위험성, 체액 불균형, 무력감, 불안정한 정서조절”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일반적 정보
(2) 질병에 대한 정보(진단, 정의, 증상, 치료, 예후 순으로 하되 증상과 치료는 대상자에게 관찰된 내용을 O, X로 표시한다)
(3) 사정내용
(4)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진단
ARF(AKI)

정의
급성 신부전이란 원인과 관계없이 신장 기능이 수 시간에서 수일 내로 갑자기 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신장 기능이 떨어지면 정상적으로 노폐물이 배설되는 것이 어려워지고, 그 결과 몸속에 질소 노폐물이 축적되어 혈액 내에 고질소혈증이 일어나고, 체액 및 전해질의 균형이 깨지게 됩니다.
급성신부전의 특징은 네프론의 토리여과율이 급격히 저하되며, 회복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증상
콩팥 기능이 빠르게 감소하여 핍뇨, 혈청 BUN과 칼륨이 높아지고 저나트륨혈증과 대사산증이 나타난다.
1. 신전성 콩팥기능 상실
콩팥 혈류량 감소로 인한 사구체여과율 저하로 인하여 renin-angiotensin-aldosterone체계 활성화 catecholamine 등의 혈중 농도 상승
→ 소변량 감소
* 콩팥 요세관의 기능이 정상이므로 요농축이 가능해 소변비중과 삼투압이 높고 NaCl의 재흡수도 항진되어 요중 Na 농도는 낮아진다.
콩팥으로 공급되는 혈류량 감소로 인해 저혈압 빠른맥, 심박출량 감소, CVP 저하, 무기력, 심장기능상실, 폐부종, 흉막삼출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신성 콩팥기능 상실
요세관 세포의 탈락으로 요세관이 막혀 무뇨, 소변감소증이 발생한다.
* Na와 물이 요세관에서 재흡수 되지 않아 요중 Na의 농도가 높고 요농축이 안되기 때문에 소변의 삼투압과 요비중이 낮아진다.
3. 신후성 콩팥기능 상실
소변에 혈구, 고름, 결정체가 섞여 있을 수 있고 배뇨시작이 어렵거나 소변의 흐름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소변 감소증이나 간헐적 무뇨, 요독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검사
1. 혈액검사
혈청 creatinine이 점차 증가하여 1주 이내 6mg/dL 까지 증가 (정상 : 0.6-1.2)
BUN 1주 이내 80~100mg/dL 까지 증가 (정상 : 10-20)
2. 소변검사
신전성 : 소변의 나트륨 수치 10-20mEq/L 이하, 요비중 1.020 이상
신성 : 소변의 나트륨 수치 40mEq/L 이하, 요비중 1.010정도

 

참고문헌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 하권(2019), 현문사, p142-14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9706&cid=63057&categoryId=63057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7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39&cid=51007&categoryId=51007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신부전 AKF 케이스스터디(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감염 위험성, 체액 불균형, 무력감, 불안정한 정서조절”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