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 교육론[실제성 있는 읽기 자료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고, 한국어 숙달도 초급, 중급, 고급에 맞는 읽기 자료를 문학작품을 비롯한 주변의 읽기 자료 중에 선정하십시오.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밝히십시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jlAe/btsqJbpfOX2/c34wWfeehgMocgqLtWekpK/img.png)
목차
1. 서론
2. ‘실제성’ 있는 읽기 자료란
3. ‘실제성’ 있는 읽기 자료의 선정
3.1. 초급 학습자를 위한 읽기 자료
3.2. 중급 학습자를 위한 읽기 자료
3.3. 고급 학습자를 위한 읽기 자료
4. 결론
본문내용일부
1. 서론
본 과제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교육할 때 읽기 학습 자료가 가져야 할 여러 가지 특성 중에서 ‘실제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초급, 중급, 고급의 학습자 수준에 따른 읽기 자료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읽기 교육이란 문자로 된 텍스트를 통하여 정보를 얻고 처리하는 과정을 뜻한다. 이러한 읽기 교육은 의사소통 능력 가운데 정보의 획득과 문화의 수용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읽기’를 ‘말하기’나 ‘쓰기’ 등에 비해서 수동적인 활동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읽는 행위’는 텍스트에서 새로운 의미를 창출해내는 능동적인 학습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효율적인 읽기 교육을 위해서는 대상 텍스트, 즉 읽기 자료를 선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적으로는 학습자의 학업 수준을 고려하여 읽기 자료를 선별하되, 학습자의 배경 지식과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읽기 자료를 선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 활용하여 학습자가 특정 담화 형식에만 치우치지 않게 해야 하며, 텍스트의 내용은 ‘실제성’이 있을수록 더욱 좋다.
다음 장들에서 ‘실제성’ 있는 읽기 자료란 무엇이며, 각 수준별 학습 단계에서 요구되는 읽기 자료로는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2. ‘실제성’ 있는 읽기 자료란
읽기 교육의 텍스트 선정과 관련하여, 김제열(2007), Wallace(1992), 김정숙(2006) 등의 학자들은 ‘실제적인 자료일 것’을 강조하였다. ‘실제성’의 사전적 정의는 ‘현실에 존재하는 성질’이다. 즉, 실제성이란 실제 현실에 존재하거나, 현실과 가까운 것을 말한다. 그리고 ‘실제성’ 있는 읽기 자료란 단순히 교육을 위해 만들어낸 현실과 괴리된 인위적인 자료가 아닌, 현실에 자연스럽게 존재하는 자료를 말한다. 이때 실제 세계의 텍스트를 기준으로 재구성된 텍스트도 포함한다. 이러한 ‘실제성’ 있는 텍스트들은 내용의 응결성이 있고 자연스러우며 잘 조직되어 있어서 학습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참고문헌
논저
우형식(2010), “한국어 읽기 텍스트의 실제성과 단순화에 대한 반성적 접근”. 우리말연구 28, 우리말글학회, pp.285-314.
이승연(2016), “한국어 읽기·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장르정보 구축 및 활용 연구”, 언어정보 23,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pp.55-76.
이승은(2007), “텍스트 상세화가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교육 18-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311-331.
이정희(2015), 한국어 읽기 교육과정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
기타 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 교육론 강의 교안.
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수 학습 샘터 https://kcenter.korean.go.kr/
문재인 대통령 신년 인사
연세대학교 2016년 2월 학위수여식사 연설문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 교육론[실제성 있는 읽기 자료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고, 한국어 숙달도 초급, 중급, 고급에 맞는 읽기 자료를 문학작품을 비롯한 주변의 읽기 자료 중에 선정하십시오.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밝히십시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대안 제시 (0) | 2023.08.16 |
---|---|
인공지능의 학습과 강한 인공지능의 등장 가능성 (0) | 2023.08.11 |
다음 학습자 집단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들에게 가장 알맞은 교수법과 말하기 활동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그 근거와 함께 제시하시오. (0) | 2023.08.10 |
온열질환 직업병 보고서 (0) | 2023.08.08 |
기업 채용의 특성,문제점, 개선방안 (0) | 2023.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