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온열질환 직업병 보고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는 과거에 비해 폭염과 열대야 발생 빈도가 상승 경향에 있지만, 최근 10년은 폭염 14.0일, 열대야 9.0일로 발생 빈도가 많이 상승하고 있다. 평균 폭염은 10.1일, 열대야 5.7일 발생하며, 특히 8월(폭염 5.4일/열대야 3.1일)과 7월(폭염 3.9일/열대야 2.4일)에 자주 발생하였고 폭염과 열대야의 상관성은 매우 높으며, 7~8월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폭염의 증가로 인해 온열질환자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신고현황 연보에 따르면 폭염 발생일수가 가장 높은 2018년 온열질환 신고자는 4,526건으로 가장 높았고 2021년 1,376건으로 감소하긴 하였으나 2011년 443건보다 10년 사이 900건 넘게 발생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계속되는 폭염의 증가로 실외 근로자들의 온열질환 노출률이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온열질환에 대해 알아보고 예방하는 방법과 법의 개정안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사례연구를 시작하였다.
Ⅱ. 본론
1. 온열질환의 정의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방치 시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질환이다.
온열질환은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부종 등 5가지의 질환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폭염에 의한 온열질환 예방방법
- 물 : 시원하고 깨끗한 물 준비, 수시로 물마시기 독려
- 그늘 : 작업 장소 근처 안전한 곳에 그늘 마련, 의자 등 휴식용품, 냉방장치, 음류수대 등 설치
- 휴식 : 매시간 10분(폭염주의보)~15분(폭염경보) 이상 충분한 휴식시간 부여, 무더위 시간대(14~17시) 옥외작업 자제
* 두통, 피로, 어지러움 등 온열질환 의심증상이 있는 근로자 수시 확인
온열질환 민감군(비만, 당뇨, 고혈압/저혈압 등 질환자, 온열질환 과거 경력자, 폭염 노출작업 신규 배치자)
참고문헌
김은재 외 공저 (2021). 수문사. 직업건강과 안전
이재영,이승수,Lee Jae Young,and Lee Sungsu. "건설 노동자의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증상의 경험과 심리적 특성."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16.4 (2020): 747-757.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http://www.climate.go.kr/home/n_search/search_view.php?dist=&bbs_name=&no_bbs=6532&act=&go=&s_keyword=%ED%8F%AD%EC%97%BC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https://nih.go.kr/gallery.es?mid=a40303020200&bid=0004&act=view&list_no=145791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2021 선제기후자료]
http://www.climate.go.kr/home/n_search/search_view.php?dist=&bbs_name=&no_bbs=6532&act=&go=&s_keyword=%ED%8F%AD%EC%97%BC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온열질환 직업병 보고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 교육론[실제성 있는 읽기 자료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고, 한국어 숙달도 초급, 중급, 고급에 맞는 읽기 자료를 문학작품을 비롯한 주변의 읽기 자료 중에 선정하십시.. (0) | 2023.08.10 |
---|---|
다음 학습자 집단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들에게 가장 알맞은 교수법과 말하기 활동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그 근거와 함께 제시하시오. (0) | 2023.08.10 |
기업 채용의 특성,문제점, 개선방안 (0) | 2023.08.08 |
태권도 수련생의 인성교육 방안 (0) | 2023.08.07 |
개인 상담의 절차와 과정을 실제 사례를 들어서 설명하시오 (0) | 2023.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