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아동간호학 과제 아동의 통증 사정과 중재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 과제 아동의 통증 사정과 중재”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I. 아동 통증반응의 발달특성

II. 통증 사정 방법
1. 행동측정 Behavioral measures
1) FLACC 등급(Face-Legs-Activity-Cry-Consolability Scale)
2) 동부 온타리오 아동병원 통증척도 (Children's hospital of eastern Ontario pain scale, CHEOPS)
3) 유아기-학령전기 수술 후 통증척도 (toddler-preschooler postoperative pain scale, TPPPS)
4) 부모의 수술 후 통증평가척도 (parent's postoperative pain rating scale, PPPRS)

2. 생리적 측정 Physiologic measures

3. 자가보고 측정 Self-report measures
1) 얼굴표정 통증척도 (face pain scales)

4. 다차원적 측정 Multidimensional measures

1) 청소년 아동 통증도구 (adolescent pediatric pain tool, APPT)
2) 소아과 통증설문지 (pediatric pain questionnaire, PPQ)
3) 숫자 통증 등급(Numeric Rating Scale)

III. 비약물성 통증 간호 중재
1. 마사지

2. 열냉요법
1) 열요법
2) 냉요법

3. 관심전환(Distraction)

4. 유도된 상상법(Guided imagery)

5. 정보제공

6. 이완 방법 (Relaxation)

7. 치료적 접촉(Therapeutic touch)

IV. 약물요법
1. 아동을 위해 승인된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성 약물(NSAIDs)

2. 아동을 위해 선택된 마약성 약물 용량

3. 보조 진통 약물

4. 아동의 약물 반응

5. 진통제 투여경로와 방법
1) 경구
2) 설하, 볼, 또는 점막 관통
3) 정맥주사
4) 피하 (지속적)
5) 자가조절 진통제 (PCA)
6) 근육내
7) 비강내
8) 피내
9) 직장

V.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I. 아동 통증반응의 발달특성

- 통증을 묘사하는 아동의 능력은 나이를 먹을수록 인지적으로 그리고 언어적으로 더
성숙해지면서 변화한다.
- 영아 전기부터 학령전기까지 큰소리로 울부짖는다.

영아 전기
- 강직되거나 뒤틀리는 전신적 신체반응과 자극부위에 국소적인 반사철회가 있다.
- 얼굴표정 (눈썹 끝이 처지고 함께 모아지며, 눈은 꼭 감고 입은 벌리고 삐죽거림).
- 자극과 통증간의 인과관계가 없다.

영아후기
- 자극 부위를 천천히 움츠리면서 신체반응이 국소화된다.
- 신체적인 저항을 보이고, 특히 자극이 가해진 후 그것을 밀어내려한다.

학령전기
- 비명을 지르며 언어적으로 표현한다. ex) ‘아’, ‘아야’, ‘아파’.
- 팔다리를 휘젓는다.
- 자극 이전에 그것을 밀어내어 피하려 함.
=> 비협조적, 신체적 억제가 필요하다.
- 과정을 빨리 끝내라고 요구한다.
- 가까운 사람에게 매달리며, 신체적 위안 형태로 정서 지지를 받고자 한다.
- 지속적인 통증에 안절부절 또는 신경질적이 된다.
- 통증절차를 기다리는 동안에도 나타날 수 있다.

<중 략>

II. 통증 사정 방법

1. 행동측정 Behavioral measures
↳ 오래 지속되는 통증보다는 주사 같은 짧고 날카로운 통증이 가장 신뢰할 수 있다.
▶ 장점
고통행동인 발성, 얼굴표현, 몸 움직임은 의사소통기술이 부족한 영아나 유아, 의미 있는 대화가 제한된 아동의 통증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

▶ 단점
- 고통의 다른 원천인 배고픔, 분노 등에 대한 반응과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아 행동측정의
특이성과 민감도를 감소시킨다.
- 자가 보고보다 시간을 더 소모할 수 있고 나이든 아동의 자가 보고와 늘 일치하지 않고
관찰자에 의해 좌우된다.

1) FLACC 등급(Face-Legs-Activity-Cry-Consolability Scale)
- 3세 미만의 소아나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적용한다.

 

참고문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554&mobile&cid=51007&categoryId=51007#TABLE_OF_CONTENT1
최신아동간호학I. 2009. 홍경자 외.수문사
통증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병원간호사회
http://khna.or.kr/bbs/linkfile/resource/khna_Pcare.pdf
통증 환아를 위한 비약물적 간호 중재 방법 조사 –윤혜봉, 조결자
https://www.e-chnr.org/upload/pdf/jkachn-6-144.pdf
AHCPR(Agency for Health Care Pollicy and Research). (1992). Acute pain management:Operative or medical procedures and trauma. (AHCPR Pub. No.92-0032). Rockville,MD: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Public Health Service,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Wong D.L., Hockenberry-Eaton M., Wilson D., Winkelstein M.L., Schwartz P.(2001). Wong's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ed. 6, St. Louis, p1301
Merkel S. (1997). A behavioral scale for scoring postoperative pain in young children. Pediatric Nursing. 23(3)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 과제 아동의 통증 사정과 중재”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