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험보고서

[선박해양공학실험]선박의 파형계측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선박해양공학실험]선박의 파형계측”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실험 이론 및 원리
2. 실험 방법
3. 실험 결과
4. 토의 사항
5. 참고 문헌

 

본문내용일부

1. 실험 이론 및 원리
가. 6 자유도 운동
선체가 항주하게 될때 선체의 운동은 x축, y축, z축 의 직교좌표계에서 운동을 하게되고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운동에서는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을 병진운동은 어떠한 축에 대하여 평행이동을 하는 운동을 말하고 회전운동은 어떠한 축에 대하여 회전이동을 하게 되는 운동을 말하게 되는데 이는 6개의 운동방향으로 분류하게 된다.

그림 1 선박의 6자유도 운동 정의

1) 병진운동에서
전후요(Surge) : 전후축(x), 앞뒤 왕복운동
좌우요(Sway) : 수평축 (y), 좌우 왕복운동
상하요(Heave) : 상하축(z), 위아래 왕복운동
2) 회전운동에서
횡요(Roll) : 유동방향(x)에 대한 모멘트
선수요(Yaw) : 양력방향(z)에 대한 모멘트 종요(Pitch) : 측력방향(y)에 대한 모멘트
이러한 선체의 6자유도 운동에 의해 선박의 임의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나 계기, 화물 등에는 가속도가 작용하게 되며 가속도의 수준에 따라 승객의 안락감, 선원의 작업능력, 계기의 작동상태, 화물의 안전이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선박은 파도를 타고 6자유도 운동을 하게 되는데 파면의 선체의 특정부분의 상대 위치 변화에 따라 파도가 갑판위로 넘쳐들거나(갑판침수) 선체의 바닥이 노출(선저노출) 될 수 있으며 노출된 부분이 입수되면서 파면과 만나면서 충격력(슬래밍)이 작용하기도 한다. 선체 6자유도 운동이 선박의 위치와 무관하게 정의되는 것에 비해 선박에서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국부가속도, 갑판침수, 선저 노출, 슬래밍 등의 운동을 국부운동이라 한다.

나. 내항성
바다를 항해하는 선박은 때때로 거친 파도를 만나게 되는데 이러한 악조건에서도 화물선은 화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운송할 수 있어야 하며 여객선은 승객의 안락과 안전을 보증해야 한다. 선박이 파랑 중을 항해하게 되면 파도로 인한 동요를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선박의 동요는 승객의 안락감을 해치고 선원의 작업능력을 저하시킬 뿐 만 아니라 선박에 탑재된 각종 장비의 성능을 떨어뜨린다. 동요가 매우 심한 경우에는 배가 전복되는 경우도 있으며 때로는 파손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선박계산, 대한조선학회, 동명사, 4판, 서울, 2006.
기본조선학, 미국조선학회 임상전 역, 대한교과서, 서울, 2003.
선박운동 조종론, 이승건, 부산대학교 출판부, 부산, 1997.
선체와 해양구조물의 운동학, 구종도, 연경문화사, 서울, 1990.
자동제어공학, 권욱현, 청문각, 서울, 2003.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선박해양공학실험]선박의 파형계측”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