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동식물분류학실험) 선태식물, 관속식물 관찰”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bGmy9/btsoyq9AGh2/vYXxrX2wE9GvHgtCllY6xk/img.png)
목차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1) 재료
2) 실험 방법
3. 결과
1) 우산이끼
2) 솔이끼
3) 고사리
4) 쇠뜨기
4. 논의
본문내용일부
식물과 차축조류(charophytes)라 불리는 녹조류는 공통조상에서 진화한 것으로 생
각된다 (Taylor et al., 2021). 식물의 조상인 조류는 호수나 해안습지의 습한 가
장자리에 깔려 있었을 것이다 (Taylor et al., 2021). 이렇게 물이 얕은 서식지는
종종 건조해지므로 주기적 가뭄을 버텨내는 조류가 자연선택적으로 살아남았을 것
이다 (Taylor et al., 2021). 이후, 일부 종은 물 밖에서도 영구적으로 살 수 있게
되었으며, 이끼(moss), 우산이끼(liverwort), 뿔이끼(hornwort)를 포함한 씨가 없
는 비관다발식물이 갈라져 나왔다 (Taylor et al., 2021). 선태식물(bryophyte)라
불리는 이 식물들은 배가 모체 식물에 붙어 있고 정단분열조직이 있다는 점에서 다
른 식물과 비슷하지만 진정한 의미의 뿌리와 잎은 없으며, 줄기의 맨 아래 부분에
기질의 표면에 침투하는 작은 다세포의 모상체 같은 구조인 헛뿌리(rhizoid)가 있
다 (Taylor et al., 2021; Mauseth, 2019). 이들은 그늘지고 습한 곳에 주로 빽빽
이 서식하며, 리그닌화된 세포벽이 없어서 수직으로 성장하며 지탱이 잘 안된다
(Taylor et al., 2021). 이러한 선태식물은 편모가 있는 정자가 비나 이슬이 남긴
수분층을 따라 헤엄칠 수 있어서 수정이 수월해진다 (Taylor et al., 2021). 또한
배우자체는 광합성을 하고 다년생이며 무기질 영양소를 흡수한다 (Mauseth, 2019).
배우자체는 무성생식에 의해 빠르게 퍼져 나갈 수 있다 (Mauseth, 2019). 포자체는
배우자체로부터 무기질을 흡수하고 언제나 배우자체에 붙어 있다 (Mauseth, 2019).
이끼류의 생활사는 다음과 같다. 포자가 발아하고 엽록소를 함유하는 가늘고 긴 세
포를 내보내면서 배우자낭병의 생장이 시작된다 (Mauseth, 2019). 이 세포는 유사
분열을 하여 비슷한 세포들의 분지계를 형성하는데, 그물처럼 얽힌 이 전체 구조를
원사체라고 한다 (Mauseth, 2019).
참고문헌
Mauseth. 2019. 식물학 식물생명과학 입분서. 월드사이언스, pp.539-585.
Simpson. 2011. 식물계통학. 월드사이언스, pp.56-129.
Taylor et al. 2021. 캠벨 생명과학 개념과 현상의 이해. 라이프사이언스,
pp.346-353.
무성생식. 두산백과. (인출일: 2021.11.16.)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동식물분류학실험) 선태식물, 관속식물 관찰”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실험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박해양공학실험]선박의 파형계측 (0) | 2023.07.25 |
---|---|
[한양대 에리카]기초회로이론 op amp의 기초 회로 (0) | 2023.07.24 |
포유류 해부 실험(ICR 해부) 결과노트 (0) | 2023.07.24 |
1PFR 파이널 (0) | 2023.07.20 |
식품가공학실험, 피클 제조 (0) | 2023.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