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실습

아동간호학실습 급성중이염 case 입니다(급성통증, 고체온)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실습 급성중이염 case 입니다(급성통증, 고체온)”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간호사정 도구
(2) 자료의 검증과 조직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중재
5) 간호평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질병에 대한 정의 및 원인
- 고막 안의 공간인 중이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으로 감염되어, 급성 염증이 발생한 것으로 급성 중이염이라 한다. 중이염은 중이에 인플루엔자가 감염된 것으로 중이의 급성 염증 반응이 동반된다. 중이염은 초기 아동기에 많은 질환이며 주로 겨울에 많다. 대부분 호흡기 감염 후에 세균성 중이염이 온다. 급성 중이염은 24개월 이내 아동에게 가장 발생 빈도가 높다. 7세 이후에는 흔하지 않다. 학령전기 남아가 여아보다 발생빈도가 높으며 겨울철에 주로 많다. 가족구성원이 많거나 중이염 병력이 있는 부모 형제가 있는 아동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간접흡연은 중이염 병원체를 중이 안에 있는 호흡기 상피세포에까지 고착시켜 염증 반응을 오래하게 하고 유스타키오관을 통한 삼출물 배출을 저해함으로써 삼출성 중이염 발생을 증가시킨다. 중이염과 유아기 시절 수유방법은 상관관계가 있다. 모유수유를 한 유아는 인공수유를 한 유아보다 중이염 발생빈도가 낮다. 젖병수유와는 달리 모유수유시의 자세 때문에 모유수유 유아는 유스타키오관으로 모유가 역류할 가능성이 낮다.

2) 질병의 병태생리
① 병인
- 급성 중이염(AOM): streptococus pneumoniae, H.influenza, moraxilla catarrhalis
- RVS와 인풀루엔자, humanmetapneumoviruses, picornaviruses

② 병태생리
- 유스타키오 기능장애로 발생한다.(유스타키오관: 비강, 비인두, 이관, 중이, 유양돌기로 연결되는 구조의 하나)
- 유스타키오관의 기능
+. 비인두 분비물로부터 중이를 보호
+. 중이의 분비물을 비인두에 배액
+. 대기압과 중이의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중이를 환기시킨다.
- 유스타키오관이 짧고 넓으며 곧고 수평하게 위치해 있어 중이염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다. 유스타키오관의 기계적 또는 기능적 폐쇄로 중이의 분비물이 축적된다. 감염이나 알레르기로 인한 내인성 폐색, 아데노이드 비후나 비인두 종양으로 인한 외인성 폐색이 원인이 된다.

 

참고문헌

수문사, 10th 아동건강간호학Ⅰ 홍경자 외
수문사, 성장발달과 건강 권인수 외
드러그인포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실습 급성중이염 case 입니다(급성통증, 고체온)”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