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 스터디 위식도역류질환 소화기계 GERD 간호진단 간호과정 2개

infocomm 2023. 6. 26. 09:32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 스터디 위식도역류질환 소화기계 GERD 간호진단 간호과정 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문헌적 고찰 (질환명 : 위 식도 역류 질환 )
1) 정의
2) 발병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 검사 및 결과
6) 합병증
7) 의학적 치료
8) 일반적 간호관리

Ⅱ.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2) 주호소
3) 현병력
4) 과거력
5) 가족력
6) NANDA의 간호사정도구를 이용한 간호사정
7) 진단적 검사
8) 진단(치료)를 위한 검사
9) 주요 약물 요법
10) 기타 치료 및 간호
11) 신체 사정
12) 통증사정

Ⅲ. 간호과정
1) 위산역류와 관련된 급성통증
2) 불규칙한 생활습관과 관련된 비효과적 자가 건강 관리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정의
위식도 역류질환은 위산이나 위속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가슴안쪽으로 타는 듯한 통증이나 쓰림 등의 불편한 증상을 유발하거나 이로 인하여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말한다. 이 중 역류로 인해 식도 점막이 위 내용물에 노출되어 식도 점막이 손상된 상태를 역류성 식도염 혹은 미란성 식도염이라고 한다. 위식도 역류질환의 범주에 속하지만 내시경 검사에서 점막 결손이나 바레트 식도(Barrett’s esophagus; 지속적으로 위산이 역류하여 식도와 위의 경계 부위에서 식도 조직이 위 조직으로 변한 상태)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는 비미란성 역류질환이라 말한다.

2) 발병원인
위식도 역류질환은 어느 연령층에서나 발생할 수 있고 원인은 하부식도 괄약근의 부적절한 이완으로 생각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1. 위식도 괄약근 압력대의 신경지배 변화
2. 위-식도 연접부위 각도의 위치 변경
3. 식도열공허니아
: 복압의 증가로 위가 흉곽내로 일부 빠지는 식도열공허니아가 생기게 되면 횡경막의 조임이 느슨해지게 되고 식도열공이 넓어져 위식도역류가 잘 일어나게 된다.
4. 하부식도조임근의 기능이상
: 대부분의 위식도역류질환 환자의 조임근 압력은 정상이지만 일부 잘못된 식생활 습관과 관련되어 조임근압이 낮아지거나 조임근이 항상 닫혀있지 못하고 부적절하게 열리면서 역류가 일어난다.
5. 식도운동, 위 배출 기능 저하

3) 병태생리
정상적으로는 위식도 괄약근 부위에 높은 압력대가 있어 음식물은 통과시키나 역류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 부위에 변화가 생기면 역류가 발생한다.
1. 역류성 식도염은 식도나 위 수술 후, 또는 장기간의 구토 후, 장기간의 위장관 삽관 장관 삽관 후에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과 함께 발생할 수 있다.
2. 역류로 인해 염산 또는 위내용물과 담즙산염과 췌장액을 함유하는 십이지장 내용물이 식도점막에 접촉하게 되며, 만성적인 역류는 식도점막에 염증을 일으킨다. 만성적인 위식도 역류 식도염은 식도의 장형 화생인 바렛증후군(Barrett's esophagus)을 일으킬 수 있다.

 

참고문헌

윤은자 외 (2019), 아홉번째판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박금주 외 (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네이버 지식백과 “위 식도 역류 질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853&cid=51004&categoryId=51004
네이버 지식백과 “위 식도 역류 질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87&cid=51007&categoryId=51007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 스터디 위식도역류질환 소화기계 GERD 간호진단 간호과정 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