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케이스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당뇨병 케이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구조와 특성
2. 종류
3. 병태생리
4. 증상
5. 합병증
6. 진단검사
7. 치료 및 간호
II. 사례보고서
1. 간호 정보조사지
2.간호과정
본문내용일부
1. 구조와 특성
→이자는 왼쪽상복부 위의 뒤쪽, 배의 뒤쪽에 있으며, 머리/몸통/꼬리로 구분된다. 머리 부위는 십이지장 만곡 내에 들어가 있으며, 꼬리 부위는 지라(비장)와 심장 왼쪽에 접해있다. 이자 표면을 싸고 있는 결합조직은 다양한 크기의 소엽으로 나뉘는 실질을 형성하며 소엽 사이의 결합조직 내에는 도관이 있다. 도관의 작은 점액샘에서 이자액이 분비된다.
→인슐린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대사에 직접 관여한다. 인슐린은 췌장의
β-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핵산은 합성하고 저장한다. 인슐린은 여러 조직에 영향을 미치지만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부위는 지방, 근육, 간세포 등이다. 뇌, 콩팥요세관, 창자정막, 적혈구 등은 포도당을 흡수하는데 인슐린이 필요하지 않다.
→글루카곤은 상부 장관세포뿐만 아니라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α-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호르몬이다. 글루카곤은 주로 간에서 작용하며, 포도당 신합성(포도당신생, gluconeogenesis;지방, 단백질과 같은 비탄수화물계 물질로 포도당을 합성), 지방분해 (lipolysis),글리코겐분해(당원분해, glycogenolysis)를 촉진한다. 또한 cathecholamine의 방출을 자극하여 혈중 포도당의 농도를 높인다.
→성장억제호르몬은 시상하부, 이자의 δ-세포, 위점막의 상부와 소장에서 분비한다.
→당뇨병은 우리나라 사람들은 서구인에 비해 β-세포의 분비능력이 저하되고 비만으로 당뇨병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 특징이고 급성 대사장애와 눈, 콩팥, 심장, 신경, 혈관등을 침범하는 만성합병증을 초래한다. 당뇨병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시력장애는 25배, 콩팥질환은 17배, 괴저는 5배, 심장질환과 뇌졸중은 2배 정도 더 이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2. 종류
(1)제 1형 당뇨병(IDDM Type 1)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β세포의 파괴에 의한 절대적 인슐린 결핍으로 초래.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의 90% 이상이 소실될 때 발생한다.
참고문헌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하권) /현문사(2019)
원종순 외/ 간호과정 과 비판전 사고 제2판/ 현문사(2018)
대한 당뇨병 학회 http://www.diabetes.or.k
질병관리본부: www.cdc.go.kr
대한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Main.do
김금순 외(2016). 여덟째판 성인간호학Ⅱ. 경기도 : 수문사 p.1301-1403
황옥남 외/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2019)
한국 당뇨병 학회 http://www.diabetes.or.k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당뇨병 케이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