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바운드시장실태분석, 2017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분석을통한세분화, 외래관광객수용태세문제점및개선방안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한국인바운드시장실태분석, 2017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분석을통한세분화, 외래관광객수용태세문제점및개선방안”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 인바운드 시장 실태 분석
2. 2017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분석을 통한 세분화
1) 외래관광객 특징 분석
2) 외래관광객 만족도 분석
3) 한국 여행 중 주요 방문지 및 좋았던 관광지
4) 방한기간 중 활동
5) 한국 여행 전, 후 한국 이미지
3. 외래관광객 수용태세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교통 인프라
2) 관광통역안내사 및 안내서비스
3) 숙박업소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서론
2017년 한국 인바운드 실태조사를 확인해보면 전반적 만족도가 방한횟수의 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외래관광객들의 한국 방한의 만족도 향상 및 고부가가치 산업의 다각적 활성화를 위하여 2017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분석을 통해 이를 세분화해봄과 동시에 외래관광객 유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제언해보고자 한다.
본론
1. 한국 인바운드 시장 실태 분석
16년 7월 중국 사드배치 이후 수립된 금한령은 17년 외래관광객 비율을 –22.7% 대폭 급감시켰고, 국가별 입국자수 추이를 확인한 결과 16년 대비 중국관광객이 –48.4%의 감소율을 보였다. 하지만 16년 대비 베트남 32.2%, 필리핀 24.7%, 러시아 20.8% 등 증가폭이 대폭 상향된 국가도 있었다.
2. 2017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분석을 통한 세분화
1) 외래관광객 특징 분석
한국에 첫 방문한 외래관광객은 17년 46.7%로 16년 대비 –14.7% 감소율을 보였으나 4회 이상 방문 관광객은 17년 25.9%로 16년 대비 6.7%의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한국을 방문하게 될 때 고려하는 요인으로써는 쇼핑관광 62.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미식탐방 52.8%, 자연풍경 관람 36.4%, 문화관광 25.4%, 역사 19.8%순으로 나열되었다. 쇼핑은 16년 대비 –5.1%, 역사는 –5.8%로 감소된 경향을 보였으나 미식탐방은 8.3%가 증가한 결과가 나타났다.
2) 외래관광객 만족도 분석
치안에 대한 만족도가 93.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숙박 89.7%, 대중교통 89.0%, 출입국절차 88.3%, 쇼핑 88.1%, 음식 87.1%, 관광지매력도 87%, 관광안내서비스 83.5%, 여행경비 77.3%, 언어소통 66.2%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한국방문횟수/한국여행만족도_관광안내서비스 별 통계자료를 분석해봄으로써 방한횟수가 잦아지게 되면 관광안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지에 대한 결과를 측정해보았다.
참고문헌
『외국인 국내여행 실태조사 분석 및 시사점: 중국과 일본 관광객을 중심으로』, 박진서; 한익현(2015)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관광입국 가로막는 3대 분야 건의-』,전국경제인연합회(2016)
『외래관광객 1200만 명 유치의 정책 성과와 발전방향』, 이강욱; 이성태(2013)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한국인바운드시장실태분석, 2017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분석을통한세분화, 외래관광객수용태세문제점및개선방안”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