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실습

성인간호학 실습-GI bleeding case study

infocomm 2023. 7. 17. 09:40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 실습-GI bleeding case study”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1) 소화기계의 해부학적 위치와 기능
2) 정의
3) 원인
4) 병태생리
5) 증상 및 징후
6) 진단
7) 치료
8) 간호
9) TKR 정의

3. 연구기간 및 방법

4. Case study
1) 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건강사정
2) 검사 및 치료과정
3) 간호진단 목록 및 간호과정 적용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위장관 출혈은 서양에서는 사망률이 최고 13%로 보고될 정도로 위험한 질환이며 국내에서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위장관에서 대량으로 출혈이 일어나거나 재출혈이 반복될 경우 또는 대상자의 연령이 고령일 경우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즉, 신속한 응급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위험한 질환이 바로 위장관 출혈이다. 이에 00병원의 내과중환자실에 입원한 김◯◯ 대상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위장관 출혈을 알아보고자 한다. 위장관 출혈 대상자가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로 하는 간호 요구는 무엇인지, 위장관 출혈 대상자의 간호 중재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Ⅱ. 문헌고찰
1. 소화기계의 해부학적 위치와 기능
1) 해부학적 위치

소화기계는 해부학적, 기능적으로 음식의 소화⦁흡수⦁분비를 담당하고 있는 위장관(gastrointestinal tract:GI track)과 부속소화기관으로 나뉜다. 위장관의 길이는 약 9cm이며 상부와 하부로 구분된다.

위장관
상부위장관
입―구인도―식도―위
하부위장관
소장: 십이지장―공장―회장
대장: 맹장・충수―결장―직장―항문
부속소화기관
치아, 혀, 담낭, 간, 췌장, 소화샘, 복막

⦁식도(esophagus): 식도는 인두와 위를 연결하는 근육성 관으로 길이는 약 25cm이다. 흉곽의 종격 내 기관 후면에
위치하고 있다. 식도는 윤상연골의 밑 부분 제6경추 높이에서 시작하여 횡격막의 식도 열공에 연결된다. 식도 끝
의 약간 좁아진 부위를 하부식도괄약근이라 하며 음식물이 위를 통과한 이후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되는 것
을 방지한다.
⦁위(stomach):위는 횡격막 바로 아래 복강의 정중면에서 좌측으로 치우쳐 제 11흉추 높이에서 식도와 연결하고,
제 1요추 높이세서 소장의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다. 위의 용량은 신생의 경우 30mL, 성인은 1.5~2L 이상이 된
다. 위는 분문부, 기저부, 체부, 유둔부 4분위로 나눌 수 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수문사
KMLE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 병원
삼성서울병원 위암센터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세브란스 위장관외과
세브란스 연세암병원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 실습-GI bleeding case study”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