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고분자 재료설계 레포트 part 2”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개요(Abstract)
2. 이론적 배경
3. 고분자 blend의 벌크 상 거동 설계 조건
4. 블록공중합체계의 선정 및 고차구조 설계 조건
5. 결과 및 논의
6. 결론
본문내용일부
1. 개요(Abstract)
Typical examples of the high-order structure of polymeric materials are polymeric blends and block-composites. Firstly, polymer blends are compounds of different polymers.
The majority of polymeric pairs do not mix with each other when they reach the right temperature because the exchange energy between monomers is not friendly. This phase separation occurs across the system because the blend is a mixture, resulting in a large phase separation in mm.
< 중 략 >
2. 이론적 배경
- 고분자: 고분자란 매우 높은 분자량을 가지는 분자체이다.
작은 분자량을 가지는 기본 단위인 단량체가 화학 결합을 통해 규칙적으로 모여, 큰 단위체를 이뤄 고분자가 생성된다.
또한 일정 단위체 간 반복적 화학 결합을 통해 만들어지는 높은 분자량의 거대분자를 이른다.
고분자의 영문 명칭인 polymer는 분자량 10,000 g/mol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한정적이지 않다. 또한 중합도에 따른 구분을 위해서 낮은 수준의 중합도를 갖는 분자를 따로 올리고머(oligomer)라 구분하여 부른다.
고분자는 1개 또는 2개의 단량체만을 사용하더라도 제조 방법이 달라짐에 따라 사슬의 길이, 기하학적인 구조를 조절할 수 있고 각각 물리적 성격이 달라 다양한 물성 구현이 가능하다.[1]
- 고분자 블렌드: 고분자 블렌드란 새로운 고성능 고분자를 개발하는 방법 중 하나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고분자를 단순히 혼합할 시 상 분리가 일어나고 상용화제를 이용하거나 이차적으로 블록중합이나 그라프트중합으로 생성된다.
참고문헌
“고분자”,⌜네이버지식백과⌟,,(2019.11.27)
“고분자블렌드”,⌜NDSL⌟,,(2019.11.27)
“상분리”,⌜네이버지식백과⌟,,(2019.11.27)
“바이노달”,⌜위키백과⌟,,(2019.11.27)
“스피노달곡선”,⌜네이버지식백과⌟,,(2019.11.27)
“실리콘 표면에 나노구조 형성과정 규명 스피노달 분리 후 성장과정 통합적 설명 가능”,⌜GIST 노도영 교수팀⌟,(2019.11.27)
“벌크”,⌜네이버지식백과⌟,,(2019.11.27)
“Flory-Huggins solution theory”,⌜Polymer sci⌟,,(2019.11.27.)
“Spinodal Decomposition: Part 1: general descrip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2019.11.27)
“나노구조”,⌜네이버지식백과⌟,,(2019.11.27)
“Formation of reversed nanoscale phase-separated structures using poly(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based amphiphilic block copolymers”,⌜Polymer Volume 99, 2 September 2016, Pages 166-172⌟
“Microstructures of Triblock Copolymers”,⌜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3, No. 5⌟,Lee, Junyoung·Taihyun Chang.
“Self-assembly”,⌜위키백과⌟,,(2019.11.27)
“고분자결정화”,⌜bloggaby,생활속의고분자⌟,,(2019.11.27)
“삼중블록 공중합체의 미세구조”,⌜이준영·장태현⌟,,(2019.12.1.)
“Phase diagram of ternary polymeric solutions containing nonsolvent/solvent/polymer: Theoretical calculation and experimental validation”,⌜Leila Keshavarz a, Milad Asgarpour Khansary⌟,(2019.12.1)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고분자 재료설계 레포트 part 2”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실험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리화학실험 어는점 내림을 이용한 분자량 측정 (0) | 2023.05.24 |
---|---|
[토질역학] 흙의 압밀 시험 보고서 (0) | 2023.05.24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자회로실습 CH1. PN접합다이오드 실험보고서 (0) | 2023.05.12 |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특징 비교하기. 3학년 2학기 3단원. 초등 과학 지도안 (0) | 2023.05.08 |
아스피린의 순도 결정 실험보고서 (0)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