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시각적 사고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찰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시각적 사고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찰”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
2. 창의성(creativity)
3.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와 창의성(creativity)

III.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창의성의 개념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있던 개념으로 플라톤은 창의적인 활동을 신성한 영감의 산물이라 하였고, 이와 달리 아리스토텔레스는 창의성의 방법적, 분석적, 합리성 성질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본격적으로 창의성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시작된 것은 20세기 중반에 접어들면서부터이고, 많은 사람들이 창의성이 무엇이며 어떻게 하면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박은실, 2012).
Guilford(1950)의 미국 심리학회 회장 취임식 기조연설에서는 학령기 아동의 창의성 발달이 강조되었고, 이는 향후 심리학자들이 학생들의 창의성을 찾아내고 발전시키는 시발점이 되었다. Vygotsky(1967/2004) 또한 학령기 학생들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창의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많은 수의 창의성 연구들은 창의성이 훈련을 통해 신장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전경원, 2006; 최일호, 최인수, 2001; Amabile & Tighe, 1993; Cropley, 1992; Dominowki & Jenrick, 1995). 특히 우리나라에서 창의성 교육에 관한 관심은 최근 10년간 계속되어 왔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7차 교육과정에서 창의성 교육이 잘 실천되지 못했다는 반성에 기초하여 창의성 교육이 더 강조되었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ㆍ인성이라는 개념이 새롭게 등장하여 그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위로부터 진행되어 온 국가교육과정의 개정과 학교 현장과의 괴리감은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기 시작한 2000년대부터 꾸준히 제기되어왔다(김명숙, 2001; 윤명희, 2004; 이종연, 2007; 이혜주, 권수경; 2010; 조연순 외, 2008; 최병연, 박민희, 2004; 최석민, 2006) 특히 최근 이혜주와 권수경(2010)은 우리 사회는 창의적 사회를 지향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우리의 학교 교육 및 환경은 과거의 지식과 가치관에 권위를 두고 그것을 전달하는 데만 치중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삶에서 이미지의 사용이 증가하고, 창의성과 상상력이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문자에 의한 논리적 사고만으로는 불충분하다는 생각들이 증가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명숙 (2001). 통합적 창의성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교육심리연구, 15(4), 43-68.
김은희 (1997). 아버지 변인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진희 (2010). 시각적 사고를 적용한 창의력 향상 놀이시설에 관한 연구 -놀이시설의 시각적 기능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박은실 (2012). 목차 : 창의성 연구의 다양한 시각과 함의들. 음악교육연구, 41(1), 61-95.
신금호 (1995).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명희 (2004). 창의성 영역별 요소 접근 학습활동 프로그램 적용 효과. 문화콘텐츠연구, 9, 337-366.
이모영(2006). 시각적 사고를 활용한 창의성 신장 방안에 관한 이론적 연구 제 20권 제3호
47-74
이모영(2012). 왜 시각적 사고인가? 문화예술교육연구, 제 7권 제 4호 , 265-285
이모영(2013). 문화인지로서 시각적 사고: 시각적 사고의 본질, 역할 및 주요 특징에 대한
고찰
이성진(1995). 세계화와 창의성 교육; 세계화 시대의 창의성 교육. 한국 어린이 육영회.
이종연 (2007).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온ㆍ오프 연계수업의 전략적 운영방안 탐색. 한국교육, 34(3), 129-160.
이혜주ㆍ권수경 (2010). 창의교육의 개념적 접근. 생활과학논집, 29, 45-53.
임선하 (1993). 창의성에의 초대. 서울: 교보문고
전경원 (2006).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조연순ㆍ성진숙ㆍ이혜주 (2008). 창의성 교육: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방법.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최병연ㆍ박민희 (2004).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CPS)을 활용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교육방법연구, 16(2), 1-28.
최석민 (2006). 초등학교 창의성 교육 접근 방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초등교육연구, 19(2), 1-21.
최일호ㆍ최인수 (2001). 전문분야 창의성에 대한 학습과정 모델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20(2), 409-428.
Arnheim, R. (1991). Neue Beitrӓge. Koln: DuMont.
Arnheim, R. (2004). 시각적 사고 [visual thinking]. (김정오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원전은 1969년에 출판).
Amabile, T., & Tighe, E. (1993). Questions in creativity. In J. Brockman (Ed.), Creativity: The Reality Club 4 (pp. 7-27). New York: Touchstone.
Boden, M. (1991). The Creative mind : myths and mechanisms. NY: BasicBooks.
Cropley, A. J. (1992). More ways than one: Fostering creativity. Norwood, NJ: Ablex.
Dominowski, R. L., & Jenrick, R. (1995). Effects of hints and interpolated activity on solution of an insight problem. Psychonomic Science, 26, 335-338.
Perkins, D. (2002). T`he Intelligent Eye. Leraning to Think by Looking at Art. Los Angeles: The J. Paul Getty Trust.
R`OOT-Bernstein, R. & Root-Bernstein, M. (2007). 생각의탄생 [Spark of Genius]. (박종성 역) 서울: 에코의 서재 (원전은 1999년에 출판).
Schӧnhammer, R. (2009). Einfuhrung in die Wahrnehmungspsychologie. Sinne, Korper, Bewegung. Wien: WUV Universitӓtsverlag.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시각적 사고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찰”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