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고대부터 20세기까지의 시대 가운데 특정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나 드라마를 찾아 작품 속 복식들을 시대 양식에 맞춰 비교·설명하고, 해당 작품의 고증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작성해보..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고대부터 20세기까지의 시대 가운데 특정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나 드라마를 찾아 작품 속 복식들을 시대 양식에 맞춰 비교·설명하고, 해당 작품의 고증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작성해보시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1930년대 배경 영화의 선정과 개괄
2. 1930년대의 복식 특징
3. 영화를 통해 본 1930년대 복식
4. 고증에 대한 평가 및 소견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I. 서론
영화에서 시대적 배경을 전달하는 요소는 등장인물들이 사용하는 대사, 등장인물들의 직업, 등장인물들 간의 갈등 양태 등 여러 가지가 될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등장인물이 착용하는 의상은 시대적 분위기와 특징을 단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도구가 된다.
뿐만 아니라 등장인물의 의상은 등장인물이 지향하는 가치관이나 등장인물의 태도, 등장인물의 심경과 감정 등을 드러내어 주는 도구가 되기도 하므로 영화에서 불가분의 요소이다.
영화 의상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디자이너들이 중요한 직업으로 여겨지고 있는 것은 세계 각지에서 개최되는 영화제에서 의상 부문에 대한 시상을 별도로 하는 데에서도 잘 알 수 있다.
아래 본론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을 배경으로, 20세기 전반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의 의상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특히 20세기 전반 중 1930년대는 이른바 “재즈 시대(the jazz era)” 또는 “벨 에포크(belle epoque)”라 불리던 황금 시대가 끝나고 전세계적으로 대공황의 그림자가 드리우며 시대적인 분위기가 다시 한 번 변화하게 되던 때였기에, 이러한 풍조가 패션에서도 잘 드러난다.
아래에서는 193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로서 1930년대의 영국을 배경으로 한 영화 <어톤먼트>와 함께 당대 조선 경성을 배경으로 한 박찬욱 감독의 <아가씨>를 선정하고자 한다.
영화에 대한 정보를 간략하게 개괄한 후, 1930년대의 복식과 메이크업에 대해 그 특징을 서술하고 과연 영화에서는 그러한 특징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II. 본론
1. 1930년대 배경 영화의 선정과 개괄
1) 영화 <어톤먼트>의 소개
(1) 개괄
영화 <어톤먼트(atonement)>는 “속죄”라고 번역되어 있는 영국 작가 이언 매큐언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삼아, 조 라이트(Joe Light) 감독이 연출한 드라마 영화이다.
당시 이 영화는 아름다운 미장센뿐만 아니라 묵직한 주제 의식을 잘 담아낸 수작으로 평가받았으며, 제65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The Fashion Folks, 20TH CENTURY FASHION HISTORY: 1930 – 1940, 2017.3.2. (https://www.thefashionfolks.com/blog/20th-century-fashion-history-1930-1940/) ; The Sutherland experience, Fashion 101, 2017.1.9. (http://www.blog44.ca/michaels/2017/01/09/fashion-101/)
매일경제, [아카데미가 선택한 그 패션] 녹색 드레스로 기억된 ‘어톤먼트’, 2013.4.25.
패션엔, 20세기 스타일 아이콘과 도플갱어(?) 여배우의 만남, 2015.12.23.
뉴스인사이드, '아가씨' 김민희, 기모노 입고 긴 생머리 뽐내며…완벽 미모보니? '강렬', 2016.6.9.
송영경(외),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의상의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권 9호, 2007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고대부터 20세기까지의 시대 가운데 특정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나 드라마를 찾아 작품 속 복식들을 시대 양식에 맞춰 비교·설명하고, 해당 작품의 고증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작성해보시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