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 Case study - 급성췌장염(acute pancreatitis)”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병태생리
(2) 원인
(3) 증상 및 징후
(4) 진단 및 검사
(5) 합병증
(6) 협동적 관리
Ⅱ. History taking
Ⅲ. 진단검사
Ⅳ. 약물
Ⅴ. 간호진단
Ⅶ.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병태생리
췌장(pancrea)이란 간 다음으로 큰 소화샘이며 위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회백색의 장기로, 췌관을 통해 많은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외분비샘인 동시에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하는 내분비샘이다. 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은 십이지장으로 배설되지 못한 췌장효소가 췌장 안에서 활성화되어 췌장세포의 자가소화를 유발하는 급성 염증상태이다. 잠재적으로 췌장의 부종, 괴사, 출혈 등을 일으키는 치명적인 염증과정이다.
급성 췌장염은 급성 간질성(acute interstitial form)과 급성 출혈성(acute hemorrhagic form)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급성 간질성 췌장염인 경우 췌장이 전체적으로 붓고 염증이 있으나 해부학적인 형태는 변하지 않고 출혈이나 괴사가 나타나지 않으나, 급성 출혈성 췌장염인 경우 출혈과 괴사가 일어나며 심한 경우는 복강이나 흉강 그리고 피하조직도 괴사가 일어난다.
(2) 원인
① 알코올 : 알코올은 췌장의 분비를 자극하고, 췌장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의 구성을 변화시켜서 작은 관들을 막아 췌액이 분비되는 것을 방해한다. 췌장의 지방대사와 전신의 집아대사를 방해하여 고지혈증을 악화시킨다.
② 담석 : 담췌장관 팽대를 통한 담석의 이동으로 담즙이 췌장관 안으로 역류함으로써 췌장의 실질 조직이 손상되어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고지방혈증
● 저혈압성 쇼크, 심폐 측로(bypass) 형성이나 맥관염(vasculitits)의 발생 등과 같은 췌장의 국소빈혈
● 급성 췌장염과 관계되는 약물들로 azathioprine과 에스트로겐이 질환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만 그 밖의 많은 약물이 관련성이 있다.
위험요인. 알코올 남용 및 담석증과 담낭염은 췌장염을 일으키는 고위험 요인들이다.
그러므로 과도한 알코올 섭취 및 췌장염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의 과용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증상 및 징후
● 복통 : 주된 임상 증상으로 명치나 배꼽부위가 아프며 몇 시간 안에 격심해지고 찌르는 것 같은 통증으로 등까지 방사한다.
참고문헌
김금순 외, 2017, 성인간호학І, 수문사, p.545 - 553
차영남, 장효순, 한혜실 외 2명 저, NANDA 간호 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김태현, 2008, 급성 췌장염의 내과적 치료, 원광대학교 내과학교실 소화기 내과,
대한내과학회지 2008 75권 3호.
고동희 외 3명, 2013, 급성 췌장염 진료 권고안: 급성 췌장염의 진단.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대한췌담도학회지 2013년 18권 2호.
순천향대학교 소화기병센터. 급성췌장염. 2016. 5. 26.
http://schmc.ac.kr/seoul/schdigest/clinic01/clinic01_01.jsp?type=10
질병관리본부 “췌장염”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620
네이버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급성 췌장염”
약물정보(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약물정보(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 Case study - 급성췌장염(acute pancreatitis)”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간호학] 우울장애 대상자 case 간호과정 (0) | 2023.02.11 |
---|---|
주요우울장애 케이스 (0) | 2023.02.08 |
성인외과실습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다발성 골절환자입니다. (0) | 2023.02.08 |
조현병 케이스 (0) | 2023.02.08 |
성인간호학 신경계 환자 케이스스터디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