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식도기관루 & 식도폐색 케이스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식도기관루 & 식도폐색 케이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총괄적 소견
2. 간호진단 3개 & 우선순위
3. 간호과정 1개
4. 퇴원기록지
5.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수행된 전체간호에 대한 평가
-본 환아는 입원일 124일로 성장발달곡선 3%이내인 tracheoesophageal fistula, esophageal atresia을 진단 받은 4개월된 남아다. 환아의 I/O를 봤을 때 PM 35cc/hr과 PM 30cc/hr intergastir tube로 feeding 중이며 voiding 144cc, L-tube 58cc로 측정되었고 milk양상 연달아 3번 구토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구토를 하지 않고 수유 양이 24시간 기준 80cc까지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그 결과 환아의 체중이 연령에 맞게 7kg까지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 영양부족에 대한 간호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2차례 bleeding control OP후에 수술 부위에 출혈이나 출혈 증상이 보이지 않았고 Hb과 Hct이 정상 수치에 도달했기 때문에 출혈의 위험성에 대한 간호중재도 종료한다. 마지막으로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많은 추억과 즐거움을 쌓아 좋은 애착형성을 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간호도 종료한다.
대상자의 문제분석

-근본적인 문제인 TEF나 esophageal atresia, VATER syndrome, RDS, pulmonary infarction, congenital hydronephrosis 가 해결되지 않았으므로 전신적인 신체 기능적인 측면에서 완전한 정상화에 한계가 있다.
-현재 환아의 호흡기계나 영양 부족, 신장부위 등 결합적으로 결함이 나타나므로 장기적인 치료가 예상된다.
-2세 이전에 모아애착형성이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면회가 제한된 병동 생활이 길어졌기 때문에 훗날 모아애착관계가 어려울 수도 있다.
-병원생활이 길어지면서 국가의 지원을 받는다고 해도 경제적, 심리적으로 부모역할에 대한 부담감이 증가해 힘들 수 있다.

대상자에 대한 간호교육 내용, 방법, 이해도

임신 4주까지 식도와 기도가 분리되지 못해서 발생하는 드문 기형으로 기관과 식도 사이에 구멍이 나서 서로 통해있는 상태를 뜻한다.

 

참고문헌

최신아동건강간호학1,수문사,2015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기관식도루를 동반한 식도폐쇄의 단계적 수술-1 예 보고, 성시천 외 (2010), 대흉외지
성미혜 외(2015),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서울 : 현문사
소아과학, 홍창의 저, 안효섭 편, 대한교과서(주)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Kims, www.kimsonline.co.kr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식도기관루 & 식도폐색 케이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