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 정상신생아 케이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생리적 변화
3. 생리적 상태
4. 신생아 사정
5. 정상 신생아 간호
6. 생리적 황달
7. 모유수유
8. 간호력
9. 신생아 신체사정
10. 진단검사 및 약물
11. 간호과정
12. 결론
본문내용일부
1. 정상신생아란?
- 임신 37주에 41주 6일까지를 정상 기간이라 하며, 신생아기란 신생아가 태어나서부터 생후 1개월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이 시기엔 산소-이산화탄소의 교환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폐기능이 활성화되며, 위장관은 음식물을 소화시킬 수 있고, 신장에서는 노폐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간 기능은 독성 물질을 중화하고 배설시키며, 면역기관은 감염에 대한 방어력을 가지고, 심혈관계 및 내분비계도 독자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 정상신생아는 이 모든 적응이 잘 일어나며 건강한 상태의 신생아를 뜻한다. 신생아는 태어나자마자 자궁 외의 생활환경에 적응을 위한 첫 24시간이 중요하며, 특히 출생 직후 1시간은 매우 중요한데 적어도 생후 4시간까지는 집중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2. 출생 직후의 생리적 변화
- 신생아의 자궁 외 생활에의 적응은 복잡한 생리적 과정으로, 처음 24시간이 가장 중요하다.
이 기간 동안 호흡곤란과 순환부전이 급속히 나타날 수 있고, 표시가 잘 나지 않기 때문이다.
1) 호흡기계 변화
- 신생아에서 일어나는 가장 중요하고 즉각적인 생리적 변화는 호흡의 시작이다. 자궁 내에서는 간혹 호흡운동이 있는 것 외에는 호흡억제기전에 의해 호흡이 억제되어 있다.
호흡의 시작을 돕는 자극
(1) 화학적 자극
- 혈액의 화학적 요인(낮은 산소 분압, 높은 이산화탄소 분압, 낮은 pH)은 호흡 중추를 자극한다.
(2) 온도 자극
- 따뜻한 자궁 내 환경에서 비교적 찬 자궁 외 환경으로 나옴으로써 경험하는 갑작스러운 오한으로 온도가 갑작스럽게 변하면 피부의 감각자극이 이를 호흡중추로 전달하여 호흡을 자극한다.
(3) 접촉 자극
- 산도를 통과한 피부를 닦는 것은 호흡을 자극한다.
2) 순환계 변화
- 출생 후 호흡을 시작하면 폐가 확장되어 폐동맥압이 급격히 떨어져 폐로 가는 혈액량이 갑자기 증가한다. 폐로부터 좌심방으로 혈액이 많이 흘러 들어오면 좌심방의 압력이 높아져서 난원공이 기능적으로 닫힌다.
참고문헌
NAVER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모유수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603&cid=51007&categoryId=51007
더맘스토리[모유수유]
https://themomstory.co.kr/%EB%AA%A8%EC%9C%A0%EC%88%98%EC%9C%A0/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하이닥 [모유수유 자세, 올바른 젖 물리기 자세 사진]
안동병원[신규간호사, 학생간호사 교육내용 책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 정상신생아 케이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양병동-미만성거대B림프종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사례보고서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0) | 2023.02.01 |
---|---|
뷰티풀마인드 정신건강간호 조현병 케이스 (0) | 2023.02.01 |
노인간호학 MI심근경색 케이스 (0) | 2023.02.01 |
조현병 케이스 (0) | 2023.01.27 |
아동간호학실습 소아병동 크루프(croup)케이스 (0) | 2023.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