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실습] 신생아실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실습] 신생아실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1. 질병에 대한 기술(문헌고찰)
2. 대상자 사정
3. 대상자 간호문제 (간호진단 아님)
4. 대상자 간호과정 (우선적인 간호문제 2개 선정)
5. 퇴원 시 부모교육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대상자 사례 -
대상자는 2022년 11월 8일 오전 8시 29분에 출생한 신생아로 성별은 남아, 재태기간은 37주 5일 제왕절개로 태어났다. 산전 초음파에서 Cardiac anormaly(TR(+), RA 커 보이고 LA 작아보임, foramen ovale 커보임, dilated coronary sinus, PLSVC, RA 벽이 두꺼워 보임, RV>LV (1.96cm>1.03cm)), renal hypoplasia(Rt.)-R/O, horseshoe kidney 소견 있었던 환아로 아프가 점수는 1분 7점, 5분 9점이었다. 분만장에서 initial crying 있었고 출생 3분대 SpO2 60%대에서 오르지 않아 40초간 O2 3L blow by로 주었고 이후 SpO2 85% 이상으로 회복되어 NICU 입실하였다. 산모는 34세로 산과력은 2-0-0-2, 현 병력으로는 임신성 당뇨가 있었고, 이 전에 제왕절개 한 과거력이 있었다. 대상자의 주 진단은 patent foramen ovale, 부 진단은 sinleton born in hospital (c/s delivery), Testis ascending (cryptorchidism), Feeding problem od new born (unspecified), Horseshoe kidney로 진단 하 수유 진행하여 desaturation 양상 호전 되었고 활력징후 안정적으로 퇴원 결정하였다.

1. 연구의 필요성
고위험 신생아는 출생 후 적응이 어렵거나 사망률과 이환율이 평균 이상인 신생아로 미숙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미숙아는 재태주수 37주 미만으로 태어난 경우를 지칭하며 출생 체중에 따라 2500g 미만은 저체중 출생아, 1500g 미만은 극소저체중 출생아, 1000g 미만은 초극소저체중출생아로 구분된다. 미숙아는 전체계적으로 매년 약 150만 명이 태어나고 한국의 경우 1995년 18,232명에서 2005년 20,521명, 2015년 30,462명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는 국내 출생아수 감소에 반하는 현상이며 출생체중과 재태주수가 낮을수록 사망 위험은 증가한다.

 

참고문헌

임대선 외 6명, (2011), 난원공개존을 통한 기이성 신 색전증 1예,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011; 30: 667∼670
이상훈 회 11명, (2004), 난원공 개존증과 동반된 심부 정맥 혈전증에 의한 허혈성 직장 궤양 1예,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4; 28: 208~212
김유미, 윤효영, 최용준 and 신동수, (2019), 고위험신생아 임종에 대한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대처 경험, J Health Info Stat 2019;44(2):103-110
윤은자 외 11명, (2019), 성인간호학 Ⅱ
서울아산병원, 난원공 개존증,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492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실습] 신생아실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