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지역사회간호학 보건사업기획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자료를 이용한 현황 분석
1. 지역의 개황도
2. 건강행태
3. 건강상태
4. 보건의료자원
Ⅱ. 보건문제요약
Ⅲ. 지역의 건강문제 해결 역량
Ⅳ. SWOT 분석
Ⅴ. 우선순위 사업 결정
1. Basic Priority Rating Scale(BPRS) 평정기준
2. 보건문제에 대한 우선순위 평정 결정
3. 우선순위 결정요소(ABC) 적용 근거
Ⅵ. 느낀점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2021년 전국의 총 인구 수는 0.2%의 감소율을 보이다, 2022년 0.1%로 감소율이 완화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창원의 총 인구 수는 0.4%에서 0.9%의 감소율으로, 감소율이 더욱 심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2021년 전국은 15세 미만의 인구 수가 6,087,471명이고, 50세 이상의 인구 수는 21,329,537명으로 0-14세 인구가 50세 이상 인구의 2배 미만이므로 항아리형 구조를 보이고 있다. 또한 2022년의 경우 15세 미만의 인구 수는 122,360명으로 감소하였지만, 50세 이상의 인구 수는 21,859,765로 증가하여, 그 추세가 심화되었다.
창원의 경우 2021년 15세 미만의 인구 수는 128,389명이고, 50세 이상의 인구 수는 429,815명으로 역시 항아리형 구조를 보이고, 2022년의 15세 미만의 인구 수는 122,360명으로 감소한데 반해 50세 이상의 인구 수는 439,644명으로 증가하여 창원 역시 항아리형의 구조가 심화된 것으로 보인다.
2021년 전국 15-49세(생산 연령)의 수는 24,270,632명으로 전국의 46.9%를 차지하였지만, 2022년 전국의 15-49세 수는 23,919,678명으로 전국의 46.2%를 차지하며 생산연령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21년 창원의 15-49세(생산 연령)의 수는 467,436명로 창원 인구 수 전체의 45.5%로 전국보다 낮으며, 호로형의 구조를 보이고, 2022년 창원의 15-49세 수는 454,868명으로 전국의 44.7%를 차지하며 생산연령이 더욱 낮아지며 호로형의 인구구조가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2021년 기준 전국의 65세 이상의 인구는 9,583,431명으로 전국의 18%를 차지하고, 2022년의 경우 65세 이상의 인구는 10,076,537명으로 전국의 19.4%를 차지하며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가까워지는 모습을 보인다.
2021년 창원의 65세 이상의 인구 수는 172,178명으로 창원 총 인구의 16.7%를 차지하여 전국보다 낮은 노인인구의 비율을 보였지만, 2022년 창원의 65세 이상의 인구 수는 182,877명으로 총 인구의 17.9%를 차지하며 전국대비 고령화 수준보다는 낮지만, 역시 고령화의 수준이 심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통계청,「인구동향조사」, 2022, 2023.12.09, 시군구출생아수, 합계출산율
통계청,「인구동향조사」, 2023.09, 2023.12.09, 월.분기.연간 인구동향(출생,사망,혼인,이혼)
보건복지부,「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현황」, 2022, 2023.12.09, 국민기초생활수급자총괄(일반,시설)-시도별
통계청,「인구총조사」, 2022, 2023.12.09, 인구, 가구 및 주택 – 읍면동(연도 끝자리 0, 5), 시군구(그 외 연도)
통계청,「국내인구이동통계」, 2023.10, 2023.12.09, 시군구별 이동자수
보건복지부,「장애인현황」, 2022, 2023.12.09, 시군구별,장애정도별,성별 등록장애인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건강보험통계」, 2023 34, 2023.12.09, 시군구별 의료인력현황(의사,약사 등)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건강보험통계」, 2023 34, 2023.12.09, 시군구별 입원실 현황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건강보험통계」, 2023 34, 2023.12.09, 시군구별 의료인력현황(간호사 및 기타인원)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2023.12.10, 시·군·구별 현재흡연율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19, 2023.12.10, 시·군·구별 현재비흡연자의 가정실내 간접흡연 노출률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2023.12.10, 시·군·구별 현재비흡연자의 직장실내 간접흡연 노출률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2023.12.10, 시·군·구별 월간음주율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2023.12.10, 시·군·구별 고위험음주율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19, 2023.12.10, 시·군·구별 비만유병률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2023.12.10, 시·군·구별 걷기 실천율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2023.12.10, 시·군·구별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18, 2023.12.10, 시·군·구별 아침결식 예방인구비율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2023.12.10, 시·군·구별 영양표시 활용률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2023.12.10, 시·군·구별 연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
통계청,「사망원인통계」, 2022, 2023.12.09., 시군+구/사망원인(50항목)/성/ 사망자수, 사망률, 연령표준화 사망률(1998~)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2023.12.09, 시·군·구별 주관적 건강인지율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2023.12.09, 시·군·구별 혈압수치 인지율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2023.12.09, 시·군·구별 혈당수치 인지율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2023.12.09, 시·군·구별 뇌졸중(중풍) 조기증상 인지율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2023.12.09, 시·군·구별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2023.12.09, 시·군·구별 스트레스 인지율
질병관리청,「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2023.12.09, 시·군·구별 우울감 경험률
생명에 대한 깊은 사랑 - 약국찾기
https://www.e-gen.or.kr/egen/search_pharmacy.do?currentPageNum=8&lat=35.241779&lon=128.685908&sidoCode=48&gugunCode=129&emogdesc=&searchType=general&emogdstr=2817&addrroad=&dongCode=&trtPrtCod=&jusoType=addrroad&addrhosp=&loca=28&day=
창원시 복지시설 현황
https://www.changwon.go.kr/cwportal/depart/11067/13897/13921.web
창원보건소-보건사업
https://www.changwon.go.kr/cwportal/depart/11066/14416/13344.web
이상권, 창원 노후 단독주택·아파트 재건축 탄력받을 듯, 경남신문, 2023-12-11 https://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420640
김진호, 민생·복지 외면한 창원시의회, 경남신문, 2023-12-11
https://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420651
최상원, ‘고립청년’, 창원시 19~39살 중 6600명…집밖에 안 나간다, 한겨레, 2023-06-30
https://www.hani.co.kr/arti/area/yeongnam/1098211.html최원태, 창원시 도심 교통혼잡 해소 위해 ‘도로법 시행령’ 개정 추진, 경남도민신문, 2023-08-02
http://www.gn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61413
이도식, 창원시,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지원 사업 시행, metro, 2022-02-15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7
조성일 외. (2021). 흡연 폐해 연구기반 구축 및 사회경제적 부담 측정 연구(‘19-’21, 서울대학교). 질병관리청암 생존자 맞춤형 직장복귀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ailored Intervention for Improving Returning to Work among Cancer Survivors
[자체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건강보장정책 수립을 위한 주요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 분석
https://www.nhis.or.kr/nhis/together/wbhaec07800m01.do?mode=view&articleNo=125013
유재언. "치매관리정책의 현황과 향후 과제." 보건복지포럼 276.- (2019): 6-18.
박양명, 우리나라 독감 발생률 0.4~6%…사망률은 0.03~0.08%, Medical Tiems, 2023-02-28
서울아산병원-건강정보-의료정보-질환백과-인플루엔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20
조윤희(Cho Yoon Hee),and 김광숙(Kim Gwang Suk). "재가 치매노인의 증상에 따른 가족의 부담감 및 전문적 도움 요구." 한국노년학 30.2 (2010): 369-383.
유승호(Seung Ho Ryu),이동우(Dong Woo Lee),이강준(Kang Joon Lee),한은주(Eun Joo Han),and 정한용(Han Yong Jung). "치매의 조기 진단과 선별검사의 유용성." 노인정신의학 10.1 (2006): 33-40.
한국건강관리협회,and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인플루엔자의 예방." 건강소식 25.11 (2001): 6-12.
오욱현,이숙희,장태창,김균무,서영우,and 고승현. "인플루엔자 감염과 합병증 발생의 임상양상 및 위험인자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33.3 (2022): 304-313.
조경엽,and 송원근.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의 경제적 영향." 한국경제연구원 정책연구 2009.11 (2009): 1-53.
김란.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시 야기될 윤리적 의사결정에 관한 지역주민의 인식."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1. 서울
최봉영, 2020년 치매관리비용 17조3천억원...1인당 2,061만원, 디멘시아뉴스, 2022.04.26.,
https://www.dementi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30
염수진. "국내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사망의 지역적 분포 및 영향요인."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서울
강규민, '독감 유행주의보' 백신 접종시 예방률 80%, 파이낸셜뉴스, 23.09.20.
https://www.fnnews.com/news/*************09948
창원보건소. 제 7기(2019년~2022년) 창원시 지역보건의료계획
창원보건소. 1차(2019)년도 창원시 지역보건의료계획
창원보건소.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1차년도(2019년) 시행결과 및 2차년도(2020년) 시행계획
창원보건소.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3차년도(2021년) 시행계획
창원보건소. 제8기(2023~2026년) 지역보건의료계획
창원보건소. 2021년(11차) 당뇨병 적정성 평가 및 가산지급 보고서
대한간학회. 한국인 간질환 백서
보건복지부. 2022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
이승원. (2020). 한국인의 음주 현황 및 알코올 간질환의 역학. 대한소화기학회지, 76(2), 55-59.
김민준, 김준웅. (2022). 제2형 당뇨 노인의 심혈관대사위험과 복부비만도 및 상대악력의 관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31(2), 595-609, 10.35159/kjss.2022.4.31.2.595김민준, 김준웅. (2022). 제2형
한스경제. ‘당뇨망막병증’ 등 3대 실명질환 진단받으면 자살 위험 ↑
https://www.hans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8514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지역사회간호학 보건사업기획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이심] VSIM Skyler Hansen 시나리오 간호과정 & 시나리오 해석 &문제, 퀴즈와 해석 & 당뇨 문헌고찰과 간호과정 (0) | 2025.01.07 |
---|---|
알레르기성 비염 사레와 간호과정 & 알레르기성 비염 스터디 케이스 & 코막힘과 관련된 수면 양상장애 (0) | 2024.12.20 |
아동간호학 신생아중환자실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비효율적 호흡양상, 감염위험성 신생아 폐동맥 고혈압 PPHN (0) | 2024.12.20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응급약물 준비 및 투여 (0) | 2024.12.11 |
갑상선암 케이스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2개, 전해질불균형장애/급성통증/감염의위험성) (0) | 2024.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