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실습] 미숙아 케이스 / Prematurity infant / NICU 케이스 / 신생아중환자실케이스 / 신생아실 케이스 / NR 케이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Qr797/btsJGmMr12p/aEXh09T4wkA8fdz5qombyK/img.png)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3
3. 대상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10
4. 주호소(chief complain) 12
5. 현병력12
6. 가족력 12
7. 임상검사결과12
8. 질환에 대한 치료15
9. 의학적 진단16
10. 대상자의 강점과 취약점17
11. 문제 목록17
12. 간호과정18
13. 결론 19
14. 참고 문헌20
본문내용일부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미숙아는 재태기간이 짧아 고위험 신생아로 분류되는 경우로, 임신기간 37주 이전에 태어나는 아이를 칭한다. 미숙아는 조산아, 이른둥이로도 칭하며 전체 임신 중 약 6~9%를 차지한다. 미숙아는 신체 성숙도가 만삭아에 비해 떨어진다. 저혈당증, 고빌리루빈혈증, 체온 불안정, 호흡기계 문제, 수유 문제가 많아지고 있으며 생후 24개월 인지기능과 운동기능이 만삭아에 비해 저조하다. 신생아 주요 사망 원인의 60%가 미숙아일 정도로 사망 발생률이 높으며, 이러한 환아들은 신생아 집중관리의 주요 대상이 된다.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재태기간이 짧은 미숙아들이 생존 가능해졌다. 특히 출생체중이 1,500g이상이면서 선천성 기형이 없는 신생아는 예후가 매우 좋다. 그러므로 간호사들은 미숙아의 쾌유를 위해 정확하고 수준높은 간호를 도모할 필요성이 있다. 현 NR 실습 중 예후가 좋은 미숙아 아이가 입원하여 이에 대해 정확히 공부하고자 본 사례를 연구로 선정하였다.
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진단명: Other preterm infants, 34 completed weeks (34주 조산아)
체중: 2569.00g
선천성 기형 여부: 없음
1)정의
premature infant(미숙아)
: 미숙아는 출생 시 체중과는 관련 없이 재태기간 37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를 말한다. 미숙아 중 재태기간 34주 이상~37주 미만에 출생한 미숙아는 후기 미숙아(late preterm)로 칭한다.
2)원인
조산은 자궁이 태반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만삭 이전에 조기진통이 일어나 발생한다.
- 어머니측 원인: 나이(16세 미만 또는 35세 초과), 심장병, 신장병, 당뇨병, 고혈압, 약물 및 물질 남용,부적절한 산전 관리
- 임신관련 원인: 다태임신,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저조한 체질량 지수(<19.8kg/m), 자궁경관무력증,임신고혈압, 조기양막파수, 감염, 외상
- 태아측 원인: 태아적모구증, 태아수종, 염색체 이상, 선천성 기형
참고문헌
김미예 외. (2020). 신생아건강간호. 수문사.
김동수 외. (2006). 저출생 체중아에서 고칼륨혈증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종우. (1976). 신생아에 있어서의 혈청 CPR 반응.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실습] 미숙아 케이스 / Prematurity infant / NICU 케이스 / 신생아중환자실케이스 / 신생아실 케이스 / NR 케이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건강간호학실습_정신건강증진사업계획서_알코올 고위험군 재발 방지 (0) | 2024.09.27 |
---|---|
알코올 사용장애, 알코올 중독 간호과정 3개 사례보고서 (0) | 2024.09.27 |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폐렴 (0) | 2024.09.20 |
SDH (경막하 출혈) 실습 보고서 간호진단 3개 포함 (0) | 2024.07.26 |
성인간호실습 급성위장염케이스(간호과정3개-설사,피로,낙상위험성) (0) | 2024.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