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분야

북한의 정치이념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북한의 정치이념”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상과 이념의 정의
2. 북한의 초기 통치이념: 마르크스-레닌주의
3. 김일성 체제의 통치이념: 주체사상
4. 김정일 체제의 통치이념: 선군사상
5. 김정은 체제의 통치이념: 김일성-김정일주의

Ⅲ. 결론- 북한 정치 체제의 지향점 제시

 

본문내용일부

Ⅰ.서론. 북한 정치 사상연구의 필요성
아직까지도 끝나지 않은 북한과의 대립에는 미국과 중국 등의 강대국이 개입하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통일되지 않은 분단국가로 남아있기에 시사점이 아닐 수 없다. 냉전 시대의 영향으로 일어난 6.25 전쟁의 결과로 갈라선 뒤로 북한과의 통일을 아직까지도 장담할 수 없는 이유는, 현재 남한과 북한의 정치사상과 이념이 서로 매우 다르기 때문이며, 이러한 이념의 차이에서 서로의 이해관계가 충돌하고 있다. 그렇게 각자의 정치사상과 이념을 고수한 결과 70여년이 지난 지금, 남한과 북한의 경제 격차 또한 크게 벌어졌다. 그리고 우리는 북한을 가난하고, 공격적인 군사력 증강 위주의 국가라는 시선으로 바라보고만 있다. 과연 이런 식으로 북한을 적대적으로만 바라보아야 하는가? 진정으로 통일을 바란다면, 북한에 대해 진정으로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통일에 한 발 다가서기 위해 북한이 남한과 어떻게 다른지 알고 이해해야만 한다. 북한의 정치적 사상의 근간을 이뤘던 배경을 시작으로 각 정권에서 고수하는 정치이념, 사상에 대해 살펴보고자한다.

Ⅱ.본론
Ⅱ-ⅰ. 사상과 이념의 정의
북한의 정치사상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정치사상’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정치학은 정치사상이 한층 정리, 체계화된 과학이다. 옛날부터 주목할 만한 정치사상은 그 시대의 현실정치의 기본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해 제창되고 주장되어 왔다. 따라서 항상 정치적 비판과 정책론을 포함하고 있다. 정치사상으로 오늘날 널리 인정받고 있는 내용들은 근대 민주주의 혁명과 정에서 확립되어 근대국가 내에서 전개되었으며, 그 이후 사상과 언론 등에 의한 자유 보장의 기초하에서 체계적인 발전을 보게 되었다. 그러한 가장 보편적인 형태는 ‘민주주의’이다.
이것은 고대 그리스에서 인민의 권력, 지배를 나타내는 말에서 유래되어 인민주권, 인민에 의한 정치의 뜻으로 근대 민주국가의 기본원리를 나타내며 인간의 가치에 대한 존중, 평등, 자유 등의 이념을 포함하고 있다.

 

참고문헌

서재진. 2002. 북한의 맑스-레닌주의와 주체사상 비교연구: 체제형성에 미친 영향과 개혁〮개방의 논리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김창희. 2013. 북한의 통치이념 ‘김일성-김정일주의’ 분석. 한국정치연구소
박균열 강명진 외 4명, 2018.03.15, 북한의 정치와 사회, 경상대학교 출판
김광수. "북한의 선군사상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2012. 경상남도
김난희. "북한 통치이데올로기의 형성·변화와 사상교육에 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2008. 강원도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북한의 정치이념”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