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실습] ER 응급실/ 심정지(Cardiac Arrest) Case Study/ 케이스/ 간호과정/ 간호진단 2개(뇌조직 관류장애 위험성, 가스교환장애)”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dUXDa/btsJIiVPleW/6A2zWKnh9WC8rSAVykXoi1/img.png)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Definition)
2. 원인 (Etiology) 및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3. 임상 양상 (Clinical Manifestation)
4. 진단적 검사 (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6. 대상자 사례 비교분석
Ⅱ. 진단검사
1. 임상검사
2. 방사선 및 특수검사
Ⅲ. 투약
Ⅳ. 간호과정
1. 간호사례 요약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문헌고찰
1. 정의 (Definition)
심정지는 원인에 관계없이 심장의 박동이 정지되어 발생하는 일련의 상태이다.
2. 원인 (Etiology) 및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1) 심장성 심정지
(1) 심장성 심정지의 원인
동맥경화에 의한 급성 심근경색, 관상동맥 연축 등 다양한 관상동맥질환에 의한 심근허혈이 심정지를 유발한다. 그 외에도 심근질환, 심장판막질환 등 심장질환, 급격한 심장박출량의 감소를 초래하는 질환(대량 급성 폐색전증, 대동맥류 파열로 인한 출혈, 중증 아나필락시스, 심근경색증 후 심장파열), 전해질 불균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치명적 부정맥, 유전질환(선천성 긴QT 증후군, 부정맥성 우심실 형성이상: arrhythmogenic right ventricular dysplasia, Brugada 증후군) 등이 심정지를 유발한다.
① 관상동맥 질환
심정지와 관련이 있는 가장 흔한 심장질환은 죽상경화성 관상동맥 질환이다. 심장기능이 정상이던 사람도 주요 관상동맥이 갑자기 폐쇄되면서 발생하는 심근허혈로 인해 수 분 내에 심실세동으로 사망할 수 있다. 또한 과거 심근경색증을 앓은 후 생긴 심근 손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심실부정맥으로 인해 심정지가 발생할 수도 있다. 급사환자를 부검한 결과, 75%의 환자에서 심근경색의 흔적이 관찰되었으며, 20~30%의 환자에서는 급성 심근경색이 발생하였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 외에도 관상동맥의 선천성 기형, 관상동맥으로의 혈전 전색, 관상동맥염, 관상동맥박리, 관상동맥연축 등 심근으로의 혈류를 기계적 또는 기능적으로 폐쇄하는 질환이 발생하면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다.
② 심근병증, 심부전
심근의 비후를 초래하는 판막질환, 심근질환, 고혈압환자에서도 부정맥이 발생하거나 심장박출량이 급격히 감소함으로써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다. 좌심실유출로의 폐쇄가 동반되어 있는 비대심장근육병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 환자에서는 심실성 부정맥이 급사의 원인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심방세동 등의 상심실성 부정맥에 의하여 심정지가 발생할 수도 있다.
참고문헌
황옥남외(2018). 성인간호학 제7판. 현문사
김영민 외. 제 4부: 심정지 후 통합 치료. 대한응급의학회지 제 27 권 제 4 호(Supplement) Volume 27, Number 4 (Supplement), August, 2016
고임석. 심정지 후 증후군: 치료와 예후. J Neurocrit Care 2009;2 Suppl 1:S10-S15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www.kslm.org/main/main.html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일반혈액 검사정보. https://health.amc.seoul.kr/health/personal/checkInformation.do?checkno=520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대한심폐소생협회. 2015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이순행 외(2019). 중환자간호매뉴얼. 제2판. 포널스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실습] ER 응급실/ 심정지(Cardiac Arrest) Case Study/ 케이스/ 간호과정/ 간호진단 2개(뇌조직 관류장애 위험성, 가스교환장애)”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심혈관계 감염성 심내막염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0) | 2024.10.08 |
---|---|
천식CASE STUDY(간호진단4개,간호과정2개,느낀점) (0) | 2024.09.20 |
아동간호학 case study 뇌수막염 간호과정3개-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뇌압상승과 관련된 뇌조직 관류 변화 위험성, 잦은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0) | 2024.08.09 |
대퇴부 골절 케이스 스터디 (0) | 2024.08.09 |
울혈성심부전 간호과정2개 (간호진단8개, 문헌고찰 포함) (0) | 2024.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