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루게릭병 근위축성측삭경화증 ALS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9개 간호과정 2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루게릭병 근위축성측삭경화증 ALS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9개 간호과정 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관계문헌의 개요
1) 질환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증상 및 징후
(5) 진단 및 검사
(6) 치료
(7) 간호

Ⅱ. 본론
1.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1) 주관적 사정
2) 객관적 사정
2. 진행기록
3. 문제목록
4. 간호진단
5.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ALS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으로, 흔히 루게릭병이라 불린다. 루게릭병은 근육을 조절하는 운동신경세포의 파괴로 근육이 퇴화하는 질환으로 팔, 다리가 마비되고 호흡근의 악화로 호흡부전이 발생하며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특별한 치료법도 없다. 루게릭병으로 진단된 이후 환자의 수명은 평균 3~4년이지만 10% 정도는 증상이 점차 좋아지는 양성 경과를 보이며 10년 이상 생존하기도 한다. 루게릭병은 아직 원인이 드러나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아직은 효율적으로 병증의 진행을 억제하는 약제조차도 나와 있지 않기에 이러한 루게릭병 환자의 생명 연장을 도모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질병을 이해하고 어떻게 대상자를 도울 수 있는지 연구가 필요하다.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근위축성측삭경화증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대상자를 사정하며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재활을 돕고자 한다.

2. 관계 문헌의 개요
1) 질환 문헌고찰
(1) 정의
근위축성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은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퇴행성질환으로, 대뇌 피질의 상위운동신경세포와 뇌간 및 척수의 하위운동신경세포 모두가 점차적으로 파괴되는 특징을 보인다. 1930년대 미국의 유명한 야구선수 루게릭이 이 질환으로 사망하자 그를 기리기 위해 ‘루게릭병’으로 명명하여 불리고 있다. 원인불명이며 아직 치료방법도 없고, 표준화된 진행양상도 없으며, 예방법도 없다. 루게릭병이 발병하여 근력이 약화된다는 증상을 느낄 시점이면 운동신경세포가 70% 이상 소실되었을 때라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났다면 그 시점에 이미 많은 운동신경 세포가 손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2) 병태생리
ALS는 진행성 퇴행성 질환으로서 하위운동신경원인 척추전각, 뇌간의 운동핵, 대뇌피질의 상위운동신경원에 영향을 미친다. 운동신경원이 죽으면 축삭퇴행, 탈수초, 신경교 분화 등이 피질척수로 따라 나뉜다.

 

참고문헌

김승현 외(2020). 루게릭병을 이기는 사람들. 한양대학교 루게릭 클리닉. 8-11, 22-29.
황옥남 외(2017). 성인간호학 하권 제7판. 현문사.
KIMS 의약정보센터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A+)루게릭병 근위축성측삭경화증 ALS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9개 간호과정 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