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흉막삼출 간호과정 케이스 과정 3가지, 진단 3가지”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mVDC/btsFsqcMfQ0/aepGcIMsCiSnqXULshzsv1/img.png)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과 징후
5. 진단
6. 치료
7. 간호
Ⅲ. 연구기간 및 방법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중재
5. 간호평가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제가 처음으로 나간 전남대학교 실습에서 어떤 질환의 환자분들이 계시는지 궁금하여 EMR차트를 찾아보다가 호흡기 내과인데 COPD 와 pneumoia 질병이 주호소가 아닌 주호소로 pleural effusion을 가진 환자를 보고 pleural effusion의 질환에 대한 궁금증이 생기고 어떤 형태로 병태생리가 나타나는지 알고 싶어서 이 질환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Pleural effusion을 할시 삽관을 주로 이용하는데 삽관을 이용할 시 감염의 위험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감염의 위험성을 환자에게 알려주고 삽관으로 인한 통증이 있을 시 즉시 의료진에게 알릴 시 수 있도록 통증척도를 이용하여 통증이 있음을 의료진에게 알려 통증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질환을 가진 환자분의 사례연구를 통해 제공 되어야 할 간호에 대한 지식과 이론적 근거를 알 수 있고 환자와의 신뢰감을 쌓아 정확하고 확실한 간호를 시행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연구를 진행함
2. 문헌고찰[Pleural effusion]
(1) 흉막(Pleura)
흉막 공간은 흉벽의 벽쪽(Parietal) 늑막과 폐를 덮고 있는 내장(Visceral) 늑막 사이의 잠재적 공간이다. 폐는 두 흉막 사이의 얇은 액막(Thin film of fluid)의 모세혈관 인력(Attraction force)에 의해 흉벽과 횡격막에 고정된다. 호흡 할 때마다 흉벽의 바깥쪽으로 당기고 횡격막의 아래쪽을 당김으로써 폐가 채워진다.
흉막은 폐를 둘러싸고 있는 장액성의 막으로 폐를 덮고 있는 막은 내장흉측막(내장쪽가슴막, visceral pleura)이고 흉벽 안쪽과 종격동(가슴세로칸, mediastinum) 및 횡격막 상부를 둘러싸고 있는 막은 벽측휴막(벽쪽가슴막, parietal pleura)이다. 두 개의 흉막사이를 흉막강(가슴막안, pleural space)이라고 하고 20~25mL 정도의 장액성 액체가 있으며 윤활제 역할과 흡기에 폐가 팽창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참고문헌
양선희 외 (2020)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양선희 외 (2020)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양선희 외 (2020) 기본간호수기 현문사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황옥남 외 (2017)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이은희 외 (2022)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KP08G3122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912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A589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8070600004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흉막삼출 간호과정 케이스 과정 3가지, 진단 3가지”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 심근경색간호과정(문헌+사례+간호과정3개) (0) | 2024.03.04 |
---|---|
골절 질병보고서 및 간호과정 사례보고서(3개 간호과정) (0) | 2024.02.29 |
여성간호 난소낭종(ovarian cyst) 케이스case 간호진단,과정 2개 (0) | 2024.02.28 |
간호관리학 신규간호사 유도훈련 프로그램 보고서 (0) | 2024.02.28 |
총담관낭(Choledichal cyst) (0)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