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RDS)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검사소견
3. 투약
4.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질병명 :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2) 정의 :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출생 직후 폐가 지속적으로 팽창하지 못하고 찌그러들어 출생 후 진행성 호흡부전이 생기는 병이다. 또한 다태 임신, 당뇨병 산모의 영아, 제왕절개 분만, 한랭스트레스, 질식과 관련이 있다. 미숙아는 폐가 작고, 폐를 팽창하게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의 생산과 분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 병이 발생할 위험성이 크다.
(3) 원인 또는 유발요인 :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미숙아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미숙아는 폐가 아직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 태어났기 때문에 폐포의 크기가 작다. 이 폐포가 공기로 차고 찌그러지지 않도록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라는 것이 있어야만 풍선이 잘 늘어나서 폐포의 모양을 유지하고 호흡할 공간이 생긴다. 미숙아는 아직 폐 표면활성제를 충분히 만들어 내지 못하여 풍선인 폐포가 자꾸 찌그러지고 호흡할 공간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호흡 곤란이 심해져 이 병이 발생한다.
(4) 병태생리 : 호흡곤란 증후군은 폐의 표면활성물질의 생성과 분비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한다. 미숙아에서 표면활성물질의 활성이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 폐포의 표면장력이 증가하여 폐순응도가 감소하고 폐의 용적이 감소하게 되며, 이로 인해 환기와 관류가 원활하지 못하여 저산소혈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폐손상과 염증유발로 폐부종이 발생하고 기도의 저항이 증가하여 호흡 곤란이 발생한다.
(5) 임상증상 : 빈호흡, 호기시 신음, 청색증, 심한 흡기 부족, 지속적인 무호흡, 호흡곤란, 함몰호흡, 전신부종, 핍뇨, 장관마비 등
(6) 대상자의 주 증상 : 빈호흡, 호흡곤란, 함몰호흡
(7) 치료 및 예후 : 미숙아가 출생하면, 그 즉시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인큐베이터(보육기), 인공 환기 요법, 각종 집중 치료법 등을 적용하는 등 신생아 중환자 관리를 해야한다. 폐 표면활성제나 인공호흡기 치료를 시행하는 도중에 기흉, 간질성 폐기종 등 발생할 수 있다. 지속적으로 산소가 필요한 기관지폐 이형성증이 생길 수 있다.
참고문헌
이수연 외, 「 최신아동건강간호학 각론 」, 수문사2019
서울 아산 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31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V-PENB500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A-GM80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A-EPIN1
삼성 서울 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29b&CONT_SRC=CMS&CONT_ID=2573&CONT_CLS_CD=001020001008
서울대학교병원 희귀질환센터 https://raredisease.snuh.org/rare-disease-info/certain-diseases-before-and-after-birth/%EC%8B%A0%EC%83%9D%EC%95%84%EC%9D%98-%ED%98%B8%ED%9D%A1-%EA%B3%A4%EB%9E%80%EC%A6%9D%ED%9B%84%EA%B5%B0/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CCCCC027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2950B015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RDS)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DM foot(당뇨발, 당뇨병성 족부병변) Case study(케이스스터디), 당뇨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0) | 2024.01.19 |
---|---|
뇌경색케이스 스터디, 뇌졸중 케이스스터디 (0) | 2024.01.18 |
성인간호학실습 급성 담관염 Acute cholangitis case study 간호진단 3개 (0) | 2024.01.17 |
크론병(Crohn's Disease)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6개) (0) | 2024.01.16 |
신생아 케이스 심실중격결손 사례연구 보고서 (0)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