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기흉 케이스스터디 진단 3개, 간호계획과 중재 10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기흉 케이스스터디 진단 3개, 간호계획과 중재 10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Ι. 문헌고찰------------------------------------------------------------------------------p.1
(1) 정의
(2) 종류/병태생리
(3) 증상
(4) 위험요인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8) 예방

Ⅱ. 자료수집----------------------------------------------------------------------------p.8
(1) 일반정보
(2) 입원정보
(3) 건강정보
(4) 신체사정
(5) 진단검사
(6) 투여약물

Ⅲ. 간호과정----------------------------------------------------------------------------p.16
(1) 간호진단 : 침습적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2) 간호진단 : 폐허탈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3) 간호진단 : 흉부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Ⅳ. 참고문헌----------------------------------------------------------------------------p.28

 

본문내용일부

연구의 필요성
기흉은 흉막이 찢어져 폐 속의 공기가 흉막강 안으로 빠져나와, 폐가 쪼그라져 심한 통증과 함께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병증이다. 키가 크고 마른 체형의 젊은 남자에게서 많이 발생하게 된다. 남자들이 자주 찾는 당구장, 노래방, PC방 등 오염된 공기로 가득한 밀폐된 공간에서는 재발의 확률이 무척이나 높다. 기흉환자의 재발률은 다른 병증들보다도 더욱 높은 수준으로, 한번 찢어진 폐흉막의 근처에서 또다시 찢어지는 것이 반복되는 경우가 많다.
기흉으로 2015년도에만 2만 6천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2008년과 비교하여 최근 8년간 27% 증가했다. 이처럼 기흉의 발생빈도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통증과 호흡곤란이 극심한 경우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기흉의 정의, 원인, 증상과 치료, 간호중재를 알아보고 신속하고 정확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정하게 되었다.

① 정의
기흉이란 공기주머니에 해당하는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늑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이다.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면 흉막 내압이 상승하고 허파의 허탈정도에 따라 폐활량이 감소하는 현상이다. 기흉은 둔상에 의해 초래되기도 하며 혈흉을 동반하기도 한다.

② 종류/병태생리

1) 자연기흉

① 정의

자연기흉(spantaneous pneumothorax)은 외상 이외 다른 원인으로 흉막강 내로 공기가 누출되어 축적되는 상태로 폐가 허탈된다. 큰 수포가 파열되거나 결핵성 병변이 흉막강 내로 침식해서 발생한다.

- 범위가 큰 기흉은 호흡부전이 생기고 다른 합병증과 같이 신속하게 진행되며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한다. X-선 검사로 종격동 변위와 폐의 허탈을 알 수 있다.

- 작은 기흉은 활동을 제한하고 산소를 투여하면 흉막강 내의 공기가 점차 흡수된다. 계속 공기가 나오는지 관찰하여 기흉의 재발을 발견한다. 반복 기흉을 완전히 치료하기 위해 개흉하여 수술하기도 한다. 한 연구에서 전체 자연기흉 501사례 중 11%인 57사례가 개흉하여 수술하는 치료를 받았다. 근래에는 개흉술 대신 몇 군데를 아주 작게 절개하여 흉강경을 통해 병소를 제거하는 maximal mini surgery를 시행한다.

 

참고문헌

[논문] ’한국 성인들에서 기흉 발생과 관련된 위험요인 예측인자‘_이성란_2018년도
[논문] ‘심호흡 방법에 따른 흉관 삽입 기흉 환자의 폐환기 기능’_한국간호과학회_박형숙 외_2004년도
[논문] ‘자연기흉의 비디오흉강경수술 후 재발에 대한 분석’_대한흉부외과학회_김덕실 외_2010년도
[학술지] ‘제 9판 인턴진료지침서-흉관 삽입과 관리’ 삼성서울병원 교육수련부_최한용 외_2014년도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187~199p
성미혜 외.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253~259p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
대한약사회 : http://www.kpanet.or.kr/
사진 : 구굴 https://www.google.co.kr/?gws_rd=ssl
보건복지부 : 건강/질병정보 ‘기흉’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110
한국원자력병원 : 질환정보 ‘기흉’
https://www.kcch.re.kr/dept/main/index.do?DP_CODE=N006&MENU_ID=00201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기흉 케이스스터디 진단 3개, 간호계획과 중재 10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