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vSim 시나리오 Fatime Sanogo(조기산후출혈) 간호과정/케이스스터디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vSim 시나리오 Fatime Sanogo(조기산후출혈) 간호과정/케이스스터디”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헌 고찰(early or primary postpartum hemorrhage)
2. 문헌 고찰(sickle cell trait)
3. 문헌 고찰(분만4기 간호)

Ⅱ.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본문내용일부

1. 문헌고찰
질환명
조기 산후출혈(early or primary postpartum hemorrhage)

정의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은 질분만 후 500mL 이상, 제왕절개분만 후 1,000mL이상의 출혈이 있는 것을 뜻하며, 분만 후 24시간 이내의 출혈은 조기 산후출혈이라고 한다.

병태생리
모든 모성사망의 50% 이상은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일어나고, 대부분이 과도한 출혈 때문이다. 대부분의 산부들은 임신기간 동안 신체 보상기전의 일환으로 혈액량이 증가(평균 1~2L 정도 증가)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산후출혈에 견딜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출혈은 혈액역동의 불안정을 초래하고 모성사망과 이환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원인
자궁이완은 조기 산후출혈 90%의 원인이며, 태반 부착부위에서 출혈이 지속된다. 자궁근의 긴장이 부족한 것을 말하며 저긴장(hypotonia)의 결과로 조기 산후출혈을 유발한다.

산도열상 : 분만하는 동안 회음부(perimeum), 질 및 자궁경부(cervix)에 열상이 발생할 수 있다. 분만과정에서 과도하게 늘어나고 당겨짐으로 인해 얇아진 조직은 손상받기쉬우며 심한 산후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 중 략 >

간호진단 #3 회음절개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객관적 자료
- 금일 분만 중 회음절개술 시행함.
- 2도의 회음열상 확인됨.
- 회음부 부위의 부종 및 발적 관찰됨.
- WBC 11*109/㎕, BT 37℃

간호목표
단기 : 대상자는 회음 절개의 감염 위험성을 인지한다
장기 : 대상자는 입원 기간동안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1. 활력증후를 확인한다.
2. 회음절개부위를 자주 사정한다.
3. 필요 시, 처방에 따라 혈액검사를 시행한다.

이론적 근거
1. 감염 시 혈압, 맥박, 호흡수, 체온이 상승한다.
2. 회음절개 부위의 발적, 부종, 이상배액 등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감염증상이다.
3. WBC, CRP의 상승은 감염의 객관적 지표가 될 수 있다.

 

참고문헌

박영주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2017, p.217-226
김금순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7, p.974-976
신인철 외 공역, 알기 쉬운 약리학, 메디컬사이언스, 2017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산후출혈, http://www.snuh.org/health/encyclo/view/21/4/1.do, 2020.09.21.
KIMS 의약정보센터, https://www.kimsonline.co.kr/, 2020.09.22.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vSim 시나리오 Fatime Sanogo(조기산후출혈) 간호과정/케이스스터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