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산전관리&산전검사”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산전검진
1. 시기
2. 횟수
3. 산전검사 내용
Ⅱ. 산전검사
1. 기본검사
2. 대한산부인과학회에서 권장하는 산전검사
3. (그 외 병원) 에서 실시하는 산전검사
Ⅲ. 참고자료
본문내용일부
Ⅱ. 산전검사
1. 기본검사
▶혈액검사 : 혈액형, 빈혈, 간염, 매독 등을 검사
- Rh 음성(Rh -)시 태아용혈증후군 발생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
- 빈혈여부를 체크하여 철분제 복용시기와 양 등을 결정
- 정상값: 혈색소(헤모글로빈) 12~16 g/dl
- 임신부가 빈혈인 경우 : 태아의 인지능력과 감성발달 저하, 자연유산 위험 증가, 양수 감소로 인한 양수파열 및 조기 출산 위험 증가, 출산 후 모유분비 감소 등의 영향
- 임신부의 철분제 보충은 필수임.
- 산모수첩 등 임신사실이 확인되면 보건소에서 철분제를 무료로 받을 수 있음
▶소변검사 : 임신중독증 및 단백뇨, 당뇨, 혈뇨, 요로 감염 등을 검사
- 요당
: 혈당치가 한도를 넘으면 신장에서 당이 요로 빠져나가 요당이 검출됨
: 요당의 정상치는 음성, 정량검사는 1g/일 이하
: 양성인 경우, 당뇨병, 심근경색, 갑상선기능항진증, 쿠싱증후군, 췌장염 등을 의미
- 요단백
: 요단백은 요비중이 1.015 이하이면서 1(+) 이상이거나, 1.015 이상이면서 2(+)일 경우 의미있는 단백뇨로 해석됨
: 단백뇨는 빈혈, 요로감염, 울혈성 심부전, 임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고열, 외상, 심한 운동, 스트레스 환경에서 확인될 수 있음
: 당뇨병 환자인 경우에는 신장 합병증과 신증후군, 사구체병증 등의 근거로 볼 수 있음
- 비중(뇨)
: 체액의 균형 유지가 잘 되고 있는지 전반적인 체액상태를 평가
: 정상치 범위는 1.005~1.025
: 1.005이하이면, 소변을 농축하는 신장기능이 저하 - 신부전, 요붕증, 만성 신장염 등을 의심
: 1.025이상이면, 소변이 지나치게 농축된 고비중으로 심부전이나 당뇨병 의심
- 요잠혈
: 정상적인 소변에는 적혈구 즉 혈액이 검출되지 않는다. 무증상 혈뇨는 비뇨기계 출혈이나 요로감염, 신장암 등을, 급성 복부 통증을 동반한 혈뇨는 요로결석 등을 의심해볼 수 있음
- 백혈구(뇨)
: 소변에 백혈구가 검출되는 경우 요로감염 등 비뇨기계 감염을 의심해볼 수 있음
: 요비중, 요당, 과다질분비물 등의 경우에도 위양성으로 확인될 수 있으므로 아질산염 검사결과와 함께 해석됨
참고문헌
김선희, “임신계획은 ‘산전검사’부터, 검사항목의 의미는?”, 『HiDoc』, 제 1면, 2016.10.20.
맘스홀릭베이비, “산전검사 종류와 검사 시기!”, 『부모i 추천 포스트』,. 2018.11.15.
대한산부인과학회, 의학정보, 산전 진단 검사
서울여성병원, 임신출산관리센터, 산전검사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산전관리&산전검사”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대] 사례기반 문제풀이 및 간호과정 적용 Case 5 (0) | 2022.11.23 |
---|---|
성인간호내과 실습, 구회증후군, 폐암(소세포성폐암) (0) | 2022.11.21 |
아동간호학 소아폐렴(pneumonia in children) 환자 케이스 연구 (0) | 2022.11.21 |
[수술실 ORIF, 개방 정복 고정술] 간호학과 (0) | 2022.11.21 |
심부전 성인간호학 case study (0) | 2022.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