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조현정동장애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yeCa/btsCzRMEMuI/cY6AcMsU393QoAake1XbJ0/img.png)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2) 증상
3) 진단
4) 치료 및 예후
Ⅱ.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진행 기록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조현정동장애(schizoaffective disorder)는 조현병(schizophrenia)과 함께 기분삽화(주요우울, 또는 조증삽화)가 일정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환자들의 첫 입원 치료 후 5년에서 10년 추적 관찰한 연구들의 결과를 보면 10~20% 정도의 환자들이 좋은 결과를 가지지만 절반 정도의 환자는 결과가 좋지 않아 반복적인 입원, 증상의 악화, 우울 심화의 경험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현정동장애는 조현병과 양극성 정동 장애와의 감별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질병들의 특징을 잘 알아야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현정동장애의 사례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지식을 함양하고 환자 간호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이를 연구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조현정동장애(schizoaffective disorder)는 직업적, 사회적 기능의 상당한 상실과 함께 정동장애와 조현병의 증상을 둘 다 나타내는 정신증이다. 동반되는 정동장애의 유형에 따라 조현정동장애는 우울형과 조울형으로 나뉜다. 이는 조현병 유병률의 1/3이 될 정도로 흔하다. 조현정동장애의 평생 유병률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높은데, 주로 여성에서 우울형의 발생률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정동장애는 극도로 우울하거나 기분이 고양되는 양상으로 나타나며, 조현병은 양성증상, 음성증상 또는 혼합증상을 표현된다. 정동장애 환자라도 양성 및 음성 증상을 경험할 수 있고, 조현병 환자도 기분변화를 겪을 수 있으므로, 조현정동장애 진단을 내리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조현정동장애는 조현병과 정동장애 사이에서 조현병 증상이 우세하지만 우울장애나 조울증이 동반될 때 진단된다. 조현정동장애가 있는 환자는 눈에 띄는 기분장애가 없는 상황에서 망상이나 환각을 경험할 수 있으나, 전체 장애에서 대부분의 기간 동안 기분장애의 증상이 나타난다.
조현정동장애의 원인은 아직까지 규명되지 않았다.
참고문헌
공성숙 외. 정신건강간호학 개정판. 군자출판사.
국가정신건강서비스포털 http://www.mentalhealth.go.kr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조현정동장애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건강간호학 자연분만(NSVD) 산욕부간호 Case study / 간호과정 2개 (0) | 2023.12.28 |
---|---|
[정신간호학 실습][병동] 주요우울장애(MDD, major depressive disorder) 환자 CASE STUDY (0) | 2023.12.28 |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악성종양 - 골육종/ osteosarcoma) (0) | 2023.12.26 |
CASE STUDY 폐렴(Pneumonia) (0) | 2023.12.22 |
SDH-Subdural hemorrhage 간호과정 (0) | 2023.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