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급성췌장염 case study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급성췌장염 case study”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I. 문헌고찰 -------------------------------------------------------------- 1
1. 췌장의 구조와 특성
2. 병태생리
3. 원인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II. 사례보고서 ------------------------------------------------------------ 4
1. 간호 정보조사지
2. 간호과정 --------------------------------------------------------------------------- 11

III. 참고문헌 ------------------------------------------------------------ 15

 

본문내용일부

I. 문헌고찰
pancreatitis

1. 췌장의 구조와 특성
1) 췌장의 구조
- 위치 : 후복막에 위치한 회백색의 기관, 위의 뒤쪽에 위치함.
- 외분비선 : 소화효소 분비(아밀라아제, 트립신, 리파아제)
- 내분비선 : 혈류내로 직접 인슐린, 글루카곤 분비
- 무게 70~120g, 길이 12~20cm 정도의 납작한 모양으로 회색이나 검은색을 띠고 있음.
- 이자머리(두부), 이자목(경부), 이자몸통(체부), 이자꼬리(미부)의 네 부분으로 나눔.

2) 췌장의 기능
- 위 내용을 중화 (췌장액 : pH 8.5)
- 췌장액 분비 : 단백질 분해효소, 지방 분해효소, 탄수화물 분해효소로 구성되며 이자 내에서 생성 시에는 불활성 상태로 있다가 샘창자 내에서 활성화 되어 소화 효소로서의 역할을 함.
- 내분비선 : β세포(인슐린), α 세포(글루카곤)
- 호르몬은 이자 실질 내의 랑게르한스섬에서 분비됨.
- 랑게르한스섬은 α세포와 β세포 두 종류, 각각 글루카곤과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해 당 대사를 조절을 함.
- β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은 고혈당에 의해 분비가 촉진되며, 포도당을 글리코겐이나 지방으로 변환시켜 식후 상승되는 혈당을 조절하는 작용을 함.
- α세포에서 분비되는 글루카곤은 저혈당에 의해 분비가 촉진되며 간에서 글리코겐을 분해시켜 혈당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함.
- 외분비선 : 소화효소, 중탄산염, 수분을 십이지장으로 분비함.

2. 병태생리

● 췌장염은 세균의 침임으로 발병하는 것이 아니라 췌장효소가 이자 내에서 활성화되어 이자세포가 자신을 소화하여 염증이 일어나고 조직이 탈락·괴사되는 과정임.
● 남성은 주로 알코올중독, 손상, 소화성궤양과 관련이 있고, 여성은 쓸개간 질환과 관련이 있음.
● 담도질환에 의한 췌장염은 예후가 좋으나, 알코올중독과 관련된 췌장염은 예후가 나쁨.
● 급성 췌장염의 정도는 염증과 부종 등의 가벼운 증상부터 괴사성출혈성췌장염까지 다양함.
● 이자세포의 염증, 탈락, 괴사가 급격히 진행되어 전신증상을 유발함

 

참고문헌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상), p.420~498, 현문사, 서울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p.281~288, 현문사, 서울
송경애 외(2019). 최신 기본간호학 1, p. 43~48, 수문사, 서울
의학품안전나라 –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세브란스병원 질환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급성췌장염 case study”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