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실습

성인간호학실습 사전과제(영양장애 대상자 간호, 주요 시술&검사 등)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실습 사전과제(영양장애 대상자 간호, 주요 시술&검사 등)”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영양장애 대상자 간호
Ⅰ. 위장관계 및 간, 담도, 췌장계의 구조와 기능
Ⅱ. 위장관계 및 간, 담도, 췌장계 주요 질환
Ⅲ 주요 시술과 검사

2. 혈액 및 조혈기관 장애와 종양 문제를 가진 대상자 간호
Ⅰ. 혈액계의 구조와 기능
Ⅱ. 혈액계의 주요 질환
Ⅲ. 주요 시술과 검사
Ⅳ. 기타 학습

3. 사전학습 공통자료

 

본문내용일부

Ⅰ. 위장관계 및 간, 담도, 췌장계의 구조와 기능
1-1. 구강 (Oral cavity)
(1) 구조
구강은 음식물을 섭취하는 통로이다. 구강상부는 연구개(soft palate), 경구개(hard palate)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강저부는 혀, 근육, 침샘(설하선, 악하선, 이하선)으로 구성되어있다. 침샘에서는 침(타액)을 분비하는데, 여러 자극을 통해 하루 1,000-1,500mL의 침을 분비한다.
(2) 기능
구강은 음식물의 저작, 연하 및 소화 기능을 담당한다. 음식물을 잘게 분해하여 위에서 이루어지는 소화 작용을 수월하도록 돕는다. 또한, 타액은 음식물을 삼키기 쉽도록 부드럽게 하며, 프리알린은 다당류인 전분을 이당류로 분해한다.
1-2. 식도 (Esophagus)
(1) 구조
식도는 구강으로 들어온 음식물이 위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길이 약 20cm, 지름 약 2.5cm인 관모양의 근육으로 기도 뒤에 위치하여 횡격막, 식도열공을 거쳐 위와 연결된다. (상부: 횡문근, 하부: 평활근) 위점막에는 G세포, 벽세포, 주세포, 점액분비세포가 있다.
(2) 기능
식도벽의 점액은 음식물이 잘 지나가도록 매끄럽게 해주며 식도벽을 보호한다. 음식덩이(식괴, bolus)는 연동운동을 토해 식도로 이동하여 위와 연결된 분문을 거쳐 위로 들어간다. 분문괄약근의 압력은 음식물을 삼킬 때 감소되어 음식물이 내려가고 그 이후 압력을 가함으로써 식도로 역류되는 것을 막아준다.
1-3. 위 (Stomach)
(1) 구조
위는 근육으로 된 중국 주머니로, LUQ(좌상복부)에 위치하며 바닥(기저 fundus), 몸통(체부, body), 날문(위동, pyloric antrum)으로 구분된다. 식도와 위 사이에는 들문조임근, 위와 샘창자 사이에는 날문조임근(유문괄약근, pyloric sphincter)이 있다. 위는 복강동맥으로 혈액을 공급받으며 정맥혈은 문맥을 통해 간으로 이동한다.
(2) 기능
위의 기능은 음식물을 저장하고 소하화액을 분비하여 음식물을 용해시키는 것이다. 위는 하루 3L의 위액을 분비하며 염산(HCL), 점액, 소화효소를 분비한다. 위의 벽세포에서 분비하는 내인자는 비타민 B₁₂와 결합하여 작은창자로 이동한다. 점액은 위벽을 덮어 소화효소나 염산에 의한 자가소화 작용을 억제하고 음식물을 쉽게 통과시키며 산, 염기를 완충한다.

 

참고문헌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1」, 「최신 기본간호학2」, 수문사, 2020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상)」,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2017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www.amc.seoul.kr/asan/main.do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서울삼성병원, 건강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실습 사전과제(영양장애 대상자 간호, 주요 시술&검사 등)”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