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급성약물중독 케이스 (간호진단 3개,간호과정 3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Yqd3U/btsBmTZDFY2/pyJP3LIBIDUA2qa9eia3W0/img.png)
목차
I. 서론
A. 필요성
B. 대상 및 방법
II. 본론
A.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질병의 원인 및 병태생리
3. 증상
4. 진단
5. 치료 및 간호
B.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자료수집
2) 자료분석
① 환자 간호력
② 신체검진
③ 검사소견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질병의 정의
급성약물중독은 고의 혹은 실수로 치료적 약물을 과량 복용하여 약물이 나타내는 치료적 효과 외의 독성 부작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견되는 상태를 말한다. 학령기 이전의 소아에서는 치료적 약물이 아닌 가정 내 물질(비누,화장품 등)에 실수로 노출되는 ‘무독성 노출 혹은 복용’이 가장 흔하며 이 경우 대부분 별다른 처치 없이 관찰할 수 있는 안전한 경우이다.청소년기 이상의 연령에서 발생하는 약물중독은 대부분 자살을 시도하는 등의 의도적인 경우가 많다.약물중독은 자살 발생률이 높은 청소년기와 노년기에서 그 빈도가 높 은 경향을 보인다.
2. 질병의 원인 및 병태생리
모든 약물은 처방된 양보다 과량으로 복용하면 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약물의 노출경로는 경구가 아닌 흡입,점막이나 피부,혈관 주사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3. 증상
약물중독환자의 경우 약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4. 진단
병력상 어떤 약물에 노출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장 필수적이고 중요하며,약물에 따라 혈액 혹은 소변검 사를 통해 중독된 약물을 확인하여 진단할 수도 있다. 노출된 약물을 확인하여 진단할 수도 있다. 노출된 약물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형적인 증상에 따라 대증적인 처치를 하게 된다. 응급상황에서 약물의 농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경우가 흔하지 않고 병원의 사정에 따라 검사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약물중독을 위한 검사는 병력 및 임상적인 증상에 비해 그 가치가 떨어진다. 하지만 약물농도를 신 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면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된다.
5. 치료 및 간호
환자의 증상이 약물중독 때문에 발생한 것인지 빨리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평소에 환자가 먹던 약이나 가족들이 먹던 약물이 있다면 없어진 약물이 있는지,빈 약봉지가 있는지,있다면 그 종류와 양,약물에 노출된 시간을 파악한다. 약물중독이 의도된 것인지는 중독의 심각성과 별개로 자살 및 자해를 다시 시도할 가능성을 판단하고 정신과적 상담과 집중관찰이 필요한지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이다.
참고문헌
황옥남 외 8명 (2019)/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131
이은희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p. 217-324
http://www.health.kr/ 약학정보원
서울대학교병원백과사전-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721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급성약물중독 케이스 (간호진단 3개,간호과정 3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암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과정2개) - 만성통증, 영양불균형 (1) | 2023.12.06 |
---|---|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자궁경부상피내암 CIS)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1) | 2023.12.05 |
Cervical Cancer case study (1) | 2023.12.05 |
HF case study 간호진단,과정 1개씩 포함 (0) | 2023.12.05 |
정신간호실습_케이스 미분화조현병 완전 자세함 진단 2개 (0) | 202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