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전립선암 케이스 (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2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전립선암 케이스 (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기초 자료 수집
2) 주 호소
3) 현재 병력
4) 과거 병력
5) 암 위험 요인
6) 암 진단
7) 주관적, 객관적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
8) 신체 사정
9) 진단검사 결과
10) 투약
11) 특수치료
12) 간호과정
13) 질병 기술
1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기초 자료 수집
- Demographical data
이름 : 김**
나이 : 60세 성 : male
주소 : -

- Social history
결혼유무 : 기혼
직업 : -
종교 : 없음
거주 지역 : -

- Family history
가족력 : 없음

2) 주 호소
주증상 : for 골스캔, RARP
입원동기 : 202X, 2월 본원에서 prostate Ca 진단 후 골스캔, RARP 위해 입원 옴

<중 략>

전립선암

① 정의
전립선암은 전립선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이다.
전립선암의 95%는 선암이고 나머지 5%는 육종과 이행성 세포 종양이다. 전립선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신생물은 주변구역에서 발생하며, 정낭, 복막, 방광으로 종양이 국소적으로 퍼지면서 악성으로 자라난다. 폐, 간, 신장, 뼈로의 전이는 혈행으로 확산되어 생긴다. 인접한 림프절 역시 흔히 전이된다.

② 원인과 위험요인
전립선암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연령, 인종, 가족력이다. 전립선암은 50세 이상에서 급격히 늘어나고, 특히 60세 이후 노인에게 많이 발생한다. 또한 흑인의 전립선암 발생률이 백인보다 30%쯤 높고, 일반적으로 생존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적 소인 외에도 호르몬, 식이습관(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한 지방 섭취 증가), 제초제와 같은 화학약품 등이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전염성 질환, 성생활 정도, 사회경제적 상태, 흡연 등이 영향요인으로 거론되고 있으나, 어느 것도 뚜렷한 증거는 없다.

(2) 임상증상
전립선암의 대부분이 전립선의 말초부위에서 시작되므로, 초기의 경우,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암이 진행된 경우 방광의 출구가 막혀 소변을 배설하지 못하게 되는 급성요폐색, 혈뇨, 빈뇨 및 요실금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전립선암이 전이된 경우 요추 부위 골 전이로 인한 통증이 둔부와 다리로 방사되거나, 척수 압박, 혈뇨증, 빈혈 등의 후기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상당히 진행된 경우에 나타난다. 이외에도 정액에서 출혈이 발견되고, 사정량과 횟수의 감소와 무기력이 나타날 수 있고, 체중감소, 쇠약, 골반 림프절 전이로 인한 하지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참고문헌

김학선 외, 간호대학생을 위한 종양간호학, 포널스, 2014
대한종양간호학회, 종양 치료와 간호(2판), 포널스, 2014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아홉번째판), 수문사, 2019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아홉번째판), 수문사, 2019
전립선암,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전립선암,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 종양 임상 진료 가이드라인 “전립선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전립선암 케이스 (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