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감산사지 아미타불상, 미륵보살상에 관한 고찰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감산사지 아미타불상, 미륵보살상에 관한 고찰”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의 주안점
Ⅲ. 감산사지 불상에 대한 견해
Ⅳ. 맺음말

 

본문내용일부

Ⅰ. 머리말

감산사 출토 아미타불상과 미륵보살상은 광배(光背) 뒷면에 명문을 통해 조상(彫像) 경위와 절대연대(絶代年代)를 알 수 있는데, 현존하는 고대불상 중 정확한 연대를 가지고 있는 것은 흔치 않아 그 존재 가치가 높다. 미술사에서는 신라의 불상 양식의 계보를 밝혀 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본에서의 신라시대 불상양식 수용도 밝혀 낼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한편, 명문의 내용은 신라시대의 정치상과 귀족들의 문화수준을 알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이렇듯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두 상에 관해서는 다양한 연구들이 있어왔다. 본 고에서는 감산사 미륵, 아미타불상의 명문을 통해 신라 법상종의 성립과 두 상의 제작연대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고 있는 문명대 교수의 「신라 법상종의 성립문제와 그 미술」, 아미타불상의 옷주름형식을 중점으로 한 김리나 교수의 「신라 감산사여래식 불상의 의문과일본 불상과의 관계」와 미륵보살상의 형식과 의미를 김지성(金志誠)과 관련하여 연구한 이주형 교수의 「감산사 미륵보살상의 형식과 의미에 대한 해명」 총 3가지 논문의 내용을 정리해보고 그에 관한 견해를 논하겠다.

Ⅱ. 선행연구의 주안점

1. 문명대, 「新羅 法相宗의 成立問題와 그 美術-감산사 미륵보살상 및 아미타불상과 그 명문을 중심으로 上, 下」

문명대 선생은 감산사의 미륵과 아미타 불상의 양식 그리고 명문을 통해 신라 법상종(法相宗)의 성립 및 제작연대 등의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이 두 불상에서 유추해 낼 수 있는 중요한 두 가지를 꼽았는데 첫째로 여기에서 신라 법상종의 성립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를 찾고자 했고, 두 번째로 두 불상에서 신라 초기 법상종의 신앙 대상으로 그리고 그 미술로서의 의의를 해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법상종의 성립과 그 당시의 미술에 초점을 두고 감산사의 불상과 명문의 내용을 분석·검토하였다.
먼저 조성연대이다. 우리는 흔히 이 두 불상의 조성 연대를 광배의 명문에 의거하여 719년 내지 720년 작으로 알아왔다.

 

참고문헌

도판
성운, 世界佛敎美術圖說大辭典 7권, 佛光山宗委會: 佛光山文化發行部, 2013
중국석굴조소전집편집위원회, 中國石窟彫塑全集. 第2卷, 重慶出版社, 1999
학술논문
이주형, 「미륵을 만나다: 감산사 미륵보살상의 형식과 의미에 대한 해명」,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9,
2010.
정우택, 「불교미술사 그 성과와 과제」, 『한국불교학』 68, 학국불교학회, 2013.
소현숙, 「甘山寺 彌勒菩薩立像 硏究 : 着衣 表現을 中心으로」 , 『불교미술사학』 Vol.17, 2014,
학위논문
황희경,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과 석조아미타불입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감산사지 아미타불상, 미륵보살상에 관한 고찰”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