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 case study 크룹증후군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 case study 크룹증후군”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p3

2. 연구기간 및 방법.................................................................................p3

3. 본론......................................................................................................p3~
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p3~7
2) Case study.................................................................................

4. 결론(사례대상자에 대한 요약과 예후 자기성찰).................................................p18

5. 참고문헌...............................................................................................p18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부산성모병원에서 3주차 실습하게 된 곳은 5병동 소아과병동이었다.
5병동은 51병동과 52병동으로 나뉘어져있었는데 51병동이 일반병실(일인실, 이인실, 다인실)로 구성되어있다면 52병동은 모두 일인실로 온돌방이었다.
나를 포함한 춘해보건대 학생들은 51병동으로 배치 받게 되었다.
첫날 재원환자는 32명으로 대부분 RSV, bronchiolitis, Asthma, Pneumonia등 호흡기 질환을 가진 환아가 많았다.
한주 중 입원 환자가 제일 많은 월요일, larynglitis(croup)으로 오게 된 환아가 있었다.
학교 수업시간에 크룹 증후군으로 대표적인 증상인 개짖는 소리, 쉰목소리가 생각이 났다. 또한 유형이 여러 가지로 나누어져 조금씩 다른 증상과 그게 따른 치료방법들이 스치듯 지나갔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에게 크룹증후군에 대한 기억은 흐려져 있었다. 그래서 나는 좀 더 활실하게 문헌고찰을 하기 위해, 그리고 실제로 임상으로 관찰하여 이해력을 높이기 위해 이 환자를 case study 해보기로 하였다.



Ⅱ. 연구기간 및 방법
실습 3주차 2014.11.17(월)일부터 2014.8.20(목요일) 한 주간 EMR과 11.17~11.18일까지 환자관찰.
호흡기 14종 검사결과 RSV A positive 나오면서 71W으로 전실가게 됨.
지속적인 관찰을 하지 못했지만 17일 18일 이틀간 간호력사정과 V/S check, 환자관찰.


Ⅲ. 본론
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크룹 증후군(croup syndrome)
:후두개, 성문, 후두를 포함하는 복합적인 증상을 일컫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상기도 폐쇄가 진행됨에 따라 쉰목소리, 개가 짖는 듯한 쇳소리의 기침, 흡기시의 천명음, 비익 확장, 흉벽 함몰 등이 나타난다.


유형1. 급성 후두개염(acute epiglottitis)
1) 정의
급성 후두개염은 심각한 폐쇄성 염증과정이다. 아동기에 가장 위험한 질병 중의 하나로 봄, 겨울에 자주 발생하고 2~5세 사이의 아동에게 발생 빈도가 높다. 치명적인 결과를 피하기 위해 조기 발견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미예 저(2010), 최신 아동건강간호학(총론), 수문사, - 호흡기계 장애를 가진 아동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pub/
조결자 외((2000), 아동간호진단, 현문사, 고빌리루빈혈증p14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 case study 크룹증후군”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