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험보고서

서강대 일반화학실험2 < 옥살레이트-철 착화합물 합성과 광화학 반응 > 레포트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서강대 일반화학실험2 < 옥살레이트-철 착화합물 합성과 광화학 반응 > 레포트”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Title
2. Purpose
3. Theory
4. Chemicals & Apparatus
5. Procedure
6. References
7. Data & Results
8. Discussion
9. References

 

본문내용일부

1. Title : 옥살레이트-철 착화합물 합성과 광화학 반응
2. Purpose
철 착화합물 합성을 진행하고,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광화학 반응을 통해 청사진을 제작한다.
3. Theory
A. 전이금속
전이원소란, 주기율표에서 3족에서 12족에 해당하는 원소이다. 전이원소는 미완성된(다 채워지지 않은) d오비탈이나 f오비탈을 가지는 원소이다. 모든 전이원소들이 금속이기 때문에 전이 금속이라고도 한다. 전이금속은 열과 전기의 전도도가 높고, 일반적으로 높은 끓는점과 녹는점을 가지며 광택을 띤다. 특히, 전이금속 화합물은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색을 띤다.
이는 전이금속이 원소 상태로 존재할 때에는 원소들의 d오비탈이나 f오비탈의 에너지가 동일하나, 화합물을 형성하게 되면, d오비탈이나 f오비탈의 에너지가 달라져 전자가 낮은 에너지의 오비탈에서 높은 에너지의 오비탈로 전이할 때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정도가 모두 달라지기 때문이다. 다음의 그림 1에 주기율표에서 전이금속에 해당하는 원소들을 하늘색으로 표시해 놓았다.
B. 배위결합
배위 결합이란, 중성 분자 혹은 이온이 비공유 전자쌍을 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공유 결합이다. 일반적인 공유 결합은 공유 결합을 형성하는 2개의 중성 분자 혹은 이온이 각각 1개씩 전자를 내놓아 총 2개의 전자를 함께 공유하는 것이다. 그러나 배위결합은 1개의 중성분자 혹은 이온이 2개의 전자를 모두 제공하여 다른 원자와 공유하는 결합이다.
C. 리간드
리간드란, 착이온에서 중심 금속과 배위결합을 이루고 있는 이온 혹은 중성 분자를 모두 뜻하는 용어(배위자라고도 함)이다. 리간드는 금속 이온에 비공유 전자쌍을 제공한다. 즉, 착이온의 중심에 있는 금속 이온에 비공유 전자쌍을 제공함으로써 배위결합을 형성하는 중성분자 혹은 이온을 리간드라 한다. 전이금속은 d오비탈이나 f오비탈이 모두 채워지지 않았기 때문에 주로 리간드와 배위결합을 이루어 착화합물을 형성한다.
리간드는 한자리 리간드와 여러 자리 리간드로 나눌 수 있다. 한자리 리간드란, 착이온의 중심에 위치한 금속 이온과 배위결합을 이룰 때, 금속 이온과 결합하는 원자수가 1개인 리간드(금속 이온과 하나의 결합을 형성하는 리간드)이다.

 

참고문헌

대한화학회, 표준 일반화학실험 제7판, 천문각, 2011, pp. 246~253.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서강대 일반화학실험2 < 옥살레이트-철 착화합물 합성과 광화학 반응 > 레포트”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