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항일 독립운동가 이상설의 이념과 역사관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항일 독립운동가 이상설의 이념과 역사관”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망명 이전 구국활동
1. 일제의 황무지개척권 요구 반대 상소 투쟁
2. 을사늑약 반대 상소 투쟁

Ⅲ. 국권회복을 위한 외교활동
1. 서전서숙의 설립과 민족운동
2. 헤이그 사행의 의의
3. 구미 각국에의 순방 외교 활동

Ⅳ. 이상설의 독립운동 이념과 방법
1. 독립운동기지 건설
2. 십삼도의군 편성과 성명회의 결성
3. 권업회와 대한광복군정부, 신한혁명단 조직

Ⅴ. 맺음말

 

본문내용일부

보재 溥齋 이상설 李相卨(1870~1917)은 독립운동이 국외로 확대되고 발전하는 1910년대 항일독립운동을 이끌었던 대표적 지도자였다. 그는 1870년 충청북도 진천군덕산면 산척리 산직마을에서 李行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상설은 어려서부터 재동, 신동이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총명했기 때문에 7세 때인 1876년 참의를 역임한 동부승지 이용우에게 출계하여 그의 양자가 되어 서울로 올라오게 되었다. 이상설은 25세인 1894년 조선조의 마지막 과거에 급제하였다. 그는 이미 율곡 이이를 조술할 만한 큰 학자로 칭송되었다. 27세의 나이로 성균관 교수 겸 관장에 오른 한학자이자, 근대 신학문과 사상을 수용하기 위하여 스스로 영어·프랑스어·러시아어·일어를 익히고, 한국의 개화와 국권 수호를 위하여 국제 정치와 법률을 공부한 정치인이었다. 이상설은 1904년 일본의 황무지 개척권 요구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린 것을 시작으로 1917년 47세의 나이로 연해주 니콜리스크에서 서거할 때까지 국내외에서 폭넓은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이러한 이상설에 대한 기록은 많이 남아있지 않다. 그는 유언으로 “조국 광복을 보지 못한 처지에 이 세상에 그 무슨 흔적을 남기겠는가?” 하고 자기에 관한 모든 기록과 문헌을 모두 모아 불 태우고, 화장하여 그 재마저 바다에 뿌려 달라고 하여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망명 이후 국내로 돌아오지 않아 기록이 단절되었으며, 일부 남았던 자료마저도 분실하였고, 그 자신이 주도적으로 참가한 민족운동에서의 주역의 자리와 공명을 남에게 양보하였기 때문이다. 이상설에 대한 연구와 자료는 많이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1910년대 독립운동사에 있어서 이상설을 빼놓고는 설명할 수 없을 듯하다. 이상설은 을사늑약 이전부터 사망하는 그날까지 넓고 깊게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상설의 독립운동을 망명 이전의 구국 활동과 외교활동, 연해주 망명 이후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1910년대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법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尹炳奭, 1984, 『李相卨傳』, 일조각.
, 2009, 『1910년대 국외항일운동 Ⅰ-만주·러시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조동걸, 1989, 『韓國民族主義의 成立과 獨立運動史硏究』, 지식산업사.
, 2007,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윤병석 외, 2007, 『헤이그특사와 한국독립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2017, 『이상설 전』, 진천향토사연구회.
윤병석, 1975, 「이상설 선생의 생애와 독립운동」 『나라사랑』 20, 외솔회.
윤경로, 1996, 「1910년대 독립운동의 방략과 특성」 『한국독립운동사사전』1,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박걸순, 2006, 「李相卨의 民族運動과 後人 論贊」 『중원문화연구』 10,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2009, 「沿海州 韓人社會의 갈등과 鄭淳萬의 피살」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4,
, 2013, 「1910년대 비밀결사의 투쟁방략과 의의」 『한국독립운동사연구』 46,
이명화, 1997, 「1910년대 재러한인사회와 대한인국민회의 민족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11,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2007, 「헤이그특사가 국외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9,
이민원, 2007, 「광무황제와 헤이그 특사」 『한국독립운동사연구』29,
이민영, 2007, 「국치 전후 李相卨의 연해주지역 독립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9,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항일 독립운동가 이상설의 이념과 역사관”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