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조현병 case study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조현병 case study”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분류
6. 치료
7. 간호

Ⅱ. 간호사정
1. 정신간호력
2. 정신상태검사
3. 신체 및 심리상태

Ⅲ. 간호과정 (2개)

Ⅳ. 출처

 

본문내용일부

1. 정의
말, 행동, 감정, 인지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복합적인 증상들이 나타나는 정신병적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조현병은 사람들의 말소리 등과 같은 환청이 들리기도 하고, 내가 우주의 사령관이라든지, 이 세상은 곧 망할거라는 등의 망상이 생기기도해서 흔히 사람들이 “미쳤다”라고 말하는 대표적인 정신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2. 원인
아직까지 확실하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도파민 등의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이상, 유전적 소인, 비이상적인 신경증식, 태아 시기에 어머니의 바이러스 감염, 환경적·사회문화적인 요인, 하나의 요인이 유발하는 항상 동일한 특성을 가진 질병이 아니라 유전적 소인, 생화학적 기능장애, 생리적 요인, 그리고 사회심리 스트레스 등의 다양한 변수의 조합에서 기인한다.

3. 증상
1) 양성증상(positive symptoms, distorted function)
- 갑자기 발생해 급작스럽게 변하고, 약물에 의해 빠르게 호전되는 양상을 보인다.
- 사고 형태 장애(사고이탈, 탈선, 지리멸렬, 비논리적사고, 우원증, 언어압박, 음향현상)
- 이상행동(공격적 행동, 반복적 상동행동)
- 망상(신념의 모순성에 대한 증거를 제시해도 쉽게 변경되지 않는 확고한 신념으로 피해망상, 과대망상, 질투망상, 조종망상, 종교망상 신체망상, 관계망상 등이 있다.)
- 환각(가장 흔한 불쾌하고 공격적인 내용의 환청부터 환시, 환후, 환미)
2) 음성증상(negative symptoms, diminished function)
-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정신 기능이 소실되거나 결핍, 또는 감소되는 것.
- 실어증(언어의 빈곤, 언어 내용의 빈곤, 단절, 반응지연)
- 감정의 둔마 (정서적 표현에 사용되는 얼굴표정, 눈 맞춤, 말 억양 정서적 강조 주는 동작 등의 감소)
- 운동실조(신체적 무력증, 일상생활 불가)
- 무쾌감증 (긍정적 자극에 대해 즐거움 갖지 못하거나 기존에 경험한 즐거운 경험 회상하는 능력이 감소되는 것)

 

참고문헌

양 수 외 공저,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2017, p.197-222
차영남 외 공저,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3, p.145-146, p.214-215
네이버 의약품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55605&cid=51000&categoryId=5100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조현병 case study”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