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고분자 재료 혼합과 정제 실험”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wAbBr/btsu9OoBdGF/vBK49fKIbLM2EhK6QiejCK/img.png)
목차
1) 실험 제목
4) 실험 목적
5) 실험 이론
6) 사용되는 실험 기구
7) 사용되는 화합물의 종류 및 특성
8) 실험 방법
9) 실험 결과
10) 검토 및 분석
11) 참고 문헌
본문내용일부
1) 실험 제목 재료 혼합 과 정제 실험
가. 용액 혼합 실험 나 고분자 혼합 실험 다 유기물 정제 실험
2) 실험 일자
3) 제출자 :
4) 실험 목적
가. 용액들 을 혼합하여 Hansen Parameter 의 관점으로 다양한 용매들의 혼합 특성을 관측하고 분석한다
나. 고분자들 을 용매에 녹여 H ansen Parameter 의 관점 으로 고분자들의 혼합 특성을 관측하고 분석한다
다. 시료와 용매의 분배 차이를 이용하여 TLC 의 원리 를 이해하고 혼합물을 분리 하고 분배 차이가 왜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5) 실험 이론
1. Mixing 재료들을 섞어 기존에서 얻지 못하는 새로운 특성을 얻어내는 것
2. 침전이나 Phase separation 을 통해 Insoluble 를 알 수 있다
3. 용매 ( solvent): 용질 (solute, 화학적으로 구별되는 액체 고체 기체 을 용해시켜 용액 ( 으로 만드는 물질
4. M iscible: 액체와 액체가 섞이는 것을 말한다
5. Soluble: 고체가 액체에 녹는 것 . 즉 용질 고체 이 용매 액체 에 녹는 것
6. Solvent Miscibility Table
: solvent들의 miscibility를 나타낸 표이다.
7. 고분자1 물질의 용해 이론
: “Like dissolve like”이론이 적용된다. 즉, 유사한 것이 유사한 것을 녹인다. 여기서 ‘유사함’은 용매와 용질 사이의 유사한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이를 판단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용해도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것이다.
8. Hansen Solubility Parameter
: Hansen Solubility Parameter는 분산 결합(δd), 극성 결합(δp), 수소 결합(δh) 이 세가지 요인으로 결정된다. 이것은 다른 용매들과 또한 고분자, 색소, 나노입자 등과 분자간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극성 분자는 δP 수준이 높고, 수소 결합이 있는 분자는 δH 수준이 더 높다. 수치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숫자를 비교함으로써 합리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파라미터의 각 성분의 차이를 이용하여 좋은 용해도를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참고문헌
Abbott S, Hansen CM (2008). Hansen solubility parameters in practice. Hansen-Solubility. ISBN 978-0-9551220-2-6.
Hansen CM (January 2002). Hansen solubility parameters: a user's handbook. CRC press. ISBN 978-0-8493-7248-3.
C.M. 한센, 페인트 시험 매뉴얼의 용해성 매개변수, 17번 J. V. 콜레스케, 미국시험재료학회, 383–404 (1995)
C. M. 핸슨과 A. Beerbower, Solubility Parameters in Kirk-Othmer Encle 화학 기술 백과사전, Provl. Volnd. 2 ED, 889–910(1971)
Polarity of Organic Compounds (elmhurst.edu)
http://www.confidentsolventselection.com/solventsubstitution.html
https://www.sig maaldrich.com/chemistry/solvents/solvent miscibility table.html
기능성 용매에 대한 영양성분들의 평형분배 특성 이형진 홍인권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https://www.alfa.co.kr/AlfaAesarApp
이장우 고분자 용매의 상호작용에서 용해도 파라미터 개념의 이용『 P olymer(Korea) 』 , Vol. 12, No. 1, Feburary 1977, pp 1~4
M sds. kosha.or.kr/kcic/msdsdetail.do
Handbook of Polymer Liquid Interaction Parameters and Solubility Parameters:Allan F.M. Barton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고분자 재료 혼합과 정제 실험”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실험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화학실험]재결정 (0) | 2023.09.25 |
---|---|
진동및동적시스템설계 Mass inertia 실험레포트 (0) | 2023.09.25 |
레이저 다이오드의 특성 (0) | 2023.09.20 |
Esterification 결과레포트 (0) | 2023.09.20 |
통신공학실습 결과레포트 - 실험04_ LabVIEW_04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