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실습]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 가와사키병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uBafH/btstHatov4q/H794FSXS6A4Bu0488krH91/img.png)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1) 병태생리
2) 원인
3) 진단 및 검사
4) 증상 및 징후
5) 치료 및 처치
6) 간호중재
Ⅱ. 본론
1. 환자소개
2. 간호과정
Ⅲ. 결론
1. 실습 소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1. 연구의 필요성
실습 중인 병동에 가와사키병을 앓고 있는 대상자가 있어서 책으로만 공부한 딸기 혀, 발진, 결막 충혈 실제로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이 기회를 토대로 사례연구보고서를 쓰면서 실제 증상들과 진단적 검사 등을 책과 비교하며 공부하고자 주제로 선정하였다.
Ⅰ. 2. 문헌고찰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 KD: mucocutaneous lymph node syndrome, MCLS)은 원인 불명의 급성 열성 전신성 혈관염으로 후천심장병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1) 병태생리
작은 혈관과 중간 크기의 혈관 염증으로 주로 관상동맥에 침범한다. 급성기에는 심염과 함께 세동맥, 세정맥, 그리고 모세혈관과 같은 작은 혈관에 진행성 염증이 일어난다. 이러한 혈관염이 중간 크기의 동맥으로 진행되면서, 잠재적으로 혈관벽에 손상을 일으키고, 일부 아동에서 관상동맥류를 형성하기에 이른다.
2) 원인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고 계절적 요인과 관련이 있어 여름인 6~8월과 겨울인 12~1월에 더 많이 발생하고, 여아보다 남아에게서 1.4배~1.7배 더 자주 발생한다.
3) 진단 및 검사
아직 특별한 진단적 검사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임상증상과 검사 결과를 근거로 진단이 내려진다. 가와사키병은 원인을 알 수 없는 발열이 있고, 항생제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진단 내릴 수 있다. 또한 혈액검사에서 빈혈이 나타나고 백혈구(WBC)수치와 적혈구침강속도(ESR)는 과도한 염증으로 인해 상승한다. 그 외 CRP 상승, 요 검사상 농뇨와 단백뇨, 간기능 (AST/ALT) 수치의 상승이 있다. 아래는 가와사키병 진단 기준이다.
- 5일 이상의 열
- 다음의 5가지 증상 중 4가지가 나타나는 경우
1. 사지의 변화
급성 : 손바닥과 발바닥의 부종, 손과 발의 부종
아급성 : 2주 혹은 3주째에 손가락과 발가락 주위의 피부낙설
2. 부정형 발진
3. 눈꼽이 없는 양쪽 눈의 결막 충혈
4. 구강점막의 변화 (홍반, 마르고 갈라지는 입술), 구강인두의 충혈, 딸기 모양 혀
5. 경부 림프절 종장 (1.5cm이상), 주로 한쪽에만 나타남
참고문헌
이수연 외.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2019). 수문사
이수연 외.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2019). 수문사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 Ⅰ (2020). 현문사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 Ⅱ (2020). 현문사
송경애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2020). 수문사
이충재 외.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2019). 고문사
약학정보원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세브란스병원 건강정보
한영한마음 아동병원 7병동 소아질병메뉴얼
한영한마음 아동병원 7병동 실습지침서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실습]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 가와사키병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간호학실습 산부인과 자궁근종 케이스스터디, Leiomyoma Of Uterus case study (간호진단1개) (0) | 2023.09.13 |
---|---|
심부전 케이스스터디 (0) | 2023.09.12 |
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 부적절한 질병관리 (0) | 2023.09.12 |
성인간호학 실습 급성 전립선염 CASE 간호진단 3개, 과정 2개 (0) | 2023.09.12 |
만성신부전(CKD) 케이스스터디 (0) | 2023.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