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추간판탈출증 케이스/ HNP case/ CASE STUDY/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2개/ OR케이스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추간판탈출증 케이스/ HNP case/ CASE STUDY/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2개/ OR케이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수술 전 대상자 준비상황 확인, 기록
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3. 사례환자의 수술
4. 수술 중 간호활동
5. 회복실에서의 마취회복 상태 관찰
6. 회복실에서의 간호
7.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8. 간호진단
9. 간호과정
10.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대상자의 경우 L3-4부위의 추간판 탈출이 일어난 환자로 허리의 통증과 양쪽 다리로 둔부부터 발등까지 방사되는 통증을 겪고 입원하였다.

해부생리-척추의 구조
척추는 사람에서 목과 등, 허리, 엉덩이, 꼬리 부분에 이르기까지 주요 골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뼈를 이야기 한다. 척추골은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추 5개, 미추 4개로 구성되며, 성인에서는 아래쪽 천추와 미추가 유합되어 각각 하나씩의 천골과 미골로 형성된다. 척추는 위쪽으로 머리를 받치고 아래쪽은 골반과 연결되어 체증을 하지로 전달하며 성장에 따라 경추와 요추는 전만(lordosis), 흉추는 후만(kyphosis)이 있는 척추만곡을 가지게 된다.

(3) 사례환자의 수술
1) 수술명 / 정의 및 적응증
- 수술명: Decompressive Laminectomy and Disectomy
- 정의 및 적응증
▸Decompressive Laminectomy(감압후궁절제술): 신경과 신경낭종의 압박을 줄이기 위해 두꺼워진 인대와 척수를 덮고 있는 뼈의 뿌리를 제거하는 것
▸Disectomy(추간판 절제술): 탈출된 추간판을 절제하는 것

2) 피부준비(skin preparation)
- 허벅지부터 아랫배, 회음부, 성기주위 전체를 Betadine solution 으로 소독 후 draping 하여 수술 부위만 노출시킨다.

3) 기구 및 장비

4) 봉합기구, 침(suture materials & needle)
vicryl 2-0, nylon 3/0

5) 수술방법 (OP method) 절차 및 간호

(4)수술 중 간호활동
① 수술체위 : □ Supine ■ Prone □ Lithotomy □ Rt. lateral □ Lt. lateral □ 기타
② 마취종류 : ■ General □ Spinal □ Epidural □ IV block □ Local □ 기타
③ 마취약물
Inhalation agent: Sodalime 450g – 1.5HR

 

참고문헌

성인간호학Ⅰ, pacific books, 고자경, 김정아, 홍정주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pacific books, 고자경, 김정아, 홍정주 외 공저
최신 기본간호학 Ⅰ, 수문사, 송경애, 박형숙, 홍영혜, 이강이, 정승교 외 공저
최신 기본간호학 Ⅱ, 수문사, 송경애, 박형숙, 홍영혜, 이강이, 정승교 외 공저
알기쉬운 약리학, 메디컬사이언스, Henry Hitner
한림대학교 의료원 https://smart.hallym.or.kr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추간판탈출증 케이스/ HNP case/ CASE STUDY/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2개/ OR케이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