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직무태도와 조직행동”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ZHdrR/btsrtisw5P7/c3MOek21aVehBt2aWKYL01/img.png)
목차
1. 직무 만족
2. 직무 몰입
3. 직무 탈진
4. 조직 몰입
5. 조직 공정성
6. 직무 스트레스
본문내용일부
1. 직무만족의 개념
직무 만족은 오랫동안 조직 효과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현장에서 근무하는 실무자뿐만 아니라 산업및조직심리학에서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1) 직무만족의 정의
① 직무만족(job satisfaction)이란 직원이 자신의 직무로부터 얻는 즐거움의 정도를 말한다.
② Locke(1976)에 따르면 직무만족은 직업이나 직무 경험에 대한 인지적인 평가로부터 나타나는 긍정적인 정서 성태이다. 또한 직무 만족은 직무의 성취감에서도 기인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③ 따라서 직무 만족은 정서적 요소와 인지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④ 직무불반족의 표현으로는 퇴사, 불복종, 책임회피, 횡령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이는 건설적, 파괴적, 적극적, 소극적 차원으로 분류해볼 수 있다.
(2) 직무만족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
① 선행변인
- 직무 특성: 기술 다양성, 과업 중요성, 자율성, 피드백, 조직부합, 동료
=> 직원들은 직무에서 기술 다양성, 자율성, 과업 중요성, 피드백 등을 제공받고 있다고 지각할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았다(Spector & Jex).
- 개인적 특성: 정서 기질, 유전, 자기효능감
=> 직무 만족이 기질적인 요인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질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ex.자신의 직장에 대해 일관적으로 만족하는 성향의 사람이 있고 일관적으로 불만족하는 성향의 사람도 있다)
- 사회적 요인: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리더십 스타일
=> 직원과 상사의 관계가 좋을수록 직무 만족 수준이 증가하였다.
- 성장 기회: 승진, 복지 제도, 일-가정 문제
=> 수행에 따른 임금을 제시하는 것이 직무 만족 수준을 높일 수 있지만 상관관계가 높지는 않다(Judge & Rich).
② 결과변인: 수행, 철회 행동
- 수행: 과업, 직무 수행 시 만족 보다는 직장에서 수행을 방해하는 제약 등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참고문헌
독학사 2단계 산업 및 조직심리학 / 시대고시기획 / 2021
산업 및 조직심리학 / 시그마프레스 / 2016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직무태도와 조직행동”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로랑의 라이센싱 (0) | 2023.08.18 |
---|---|
[영화감상문] 식코(SICKO) - 의료민영화의 폐해와 현실을 숨김없이 드러낸 영화 - (보건의료제도가 국민에게 미치는 영황과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제도의 개선방향) (0) | 2023.08.18 |
장애인복지론_1. 장애인식개선교육 2.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권리 옹호 및 지원제도 3. 발달장애(지적장애, 자폐성장애)작업치료 접근법 (0) | 2023.08.17 |
중국의 각 지역별 음식의 종류와 특징 (0) | 2023.08.16 |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대안 제시 (0) | 2023.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