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험보고서

일반생물학실험 현미경 사용 및 동물세포 식물세포 관찰 실험레포트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일반생물학실험 현미경 사용 및 동물세포 식물세포 관찰 실험레포트”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Title
2. Introduction
3. Result
4. Discussion
5. Reference

 

본문내용일부

● Title : 현미경 사용 및 동물세포 식물세포 관찰
● Introduction
1.광학현미경
(1)광학현미경의 정의
광학 현미경은 물체를 비출 때 빛을 사용하는 현미경이다. 경통이동식 현미경과 재물대이동식 현미경으로 나뉜다.

(2)현미경의 구조

※왼쪽은 경통이동식 현미경이며, 오른쪽은 재물대이동식 현미경이다.

접안렌즈
눈으로 들여다보는 렌즈로 저배율일수록 길이가 짧다.
대물렌즈
프레파라트에 접하는 렌즈로 저배율일수록 길이가 짧다. 회전판을 돌려서 교환한다.
경통
접안렌즈와 대물렌즈를 연결하는 원통이며 대물렌즈로 들어오는 빛이 지나가는 통로이다.
조동나사
경통이동식 현미경일시 경통을, 재물대 이동식 현미경일시 재물대를 위아래로 크게 움직이며 상을 찾는데 사용된다. 프레파라트와 대물렌즈 사이를 조절한다.
미동나사
초점을 정확하게 맞출 때 사용된다.
회전판
보통 대물렌즈가 세 개일 경우 배율을 바꿀 때 사용한다.
재물대
프레파라트를 올려놓는 판으로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어 빛이 통과된다.
조리개(집광기)
렌즈로 들어오는 빛의 양과 조리개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클립
재물대 위에 있으며 프레파라트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장치이다.
반사경
빛을 반사시켜 대물렌즈로 보내는 거울 역할을 한다. 한 쪽은 평면거울, 다른 쪽은 오목거울로 되어 있다. 거울 대신 전등으로 대체하기도 한다.

※ 프레파라트 : 관찰하려는 재료를 슬라이드글라스와 커버글라스 사이에 넣어 만든 표본이다.
(3)사용 방법 (재물대이동식 현미경 기준)
① 회전판을 돌려 배율이 가장 낮은 대물렌즈를 택한다
② 현미경의 전원을 켠 다음 조리개를 이용하여 빛의 양을 조절한다.
③ 클립을 열고 프레파라트를 재물대 가운데에 고정시킨다.
④ 옆에서 보면서 조동나사를 돌려 재물대와 대물렌즈 사이의 거리를 가장 가깝게 만든다.
⑤ 조동나사를 천천히 돌려 접안렌즈를 통해 상을 찾는다.
⑥ 미동나사를 돌려 상을 선명히 하고 저배율에서 고배율 순서대로 관찰한다.

 

참고문헌

현미경의 구조
(http://dlegongbuwarac.edupia.com/xmlPrint.aspx?did=16423)
현미경 분해능에 대한 설명
(https://www.scienceall.com/%EB%B6%84%ED%95%B4%EB%8A%A5resolving-power/
)이머젼 오일 설명
(https://www.biozoa.co.kr/%EC%83%81%ED%92%88/%EC%9D%B4%EB%A8%B8%EC%A0%84%EC%98%A4%EC%9D%BC/)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구조
(http://study.zum.com/book/18077)
현미경 염색약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2841&cid=40942&categoryId=3240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21160&cid=40942&categoryId=3228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일반생물학실험 현미경 사용 및 동물세포 식물세포 관찰 실험레포트”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