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사회복지프로그램,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초기 아동의 인지력 개선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사업명
2. 사업 내용 및 추진전략
3. 예산 편성
4. 문제의식(사업 필요성)
5. 목표 및 평가
6. 사업종료 후 지향점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ADHD아동에게 보이는 주요 특징은 같은 연령에 비해 두드러지게 주의력이 결핍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주의력이란 조심성, 각성, 선택성, 지속적인 관심주기에 문제가 야기되는 다차원적인 복합개념으로 여러 연구에 따르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은 불면증이 있거나, 과제에 대한 주의집중에 가장 큰 문제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상복과 이상훈, 1998). 다만 이러한 ADHD아동들도 일상적인 학교 과제들에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하더라도, 의외로 자신이 좋아하는 취미나 비디오 게임과 같이 매우 재미있는 활동들이나, 신기하고 새로운 상황에 참여하면서 긴 기간 동안 주의 집중력을 발휘하기도 한다(박현숙 역, 1998).
하지만 대개의 ADHD 아동들은 충동 통제에 문제를 보인다. 충동성은 생각 없이 행동하는 경향을 말하는데(Coleman, 1996), DSM-IV 의 준거에서 여러 충동성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즉 질문이 끝나기 전에 불쑥 대답하기, 차례 주고받기에 어려움 겪기, 다른 사람을 방해하기 등이 제시되어 있다. 이들은 상호작용 과정에서 사회적으로 부적절하게 개입하고 뛰어든다. ADHD 아동 중 많은 아동이 과잉행동을 나타낸다. 교실에서 이들은 늘 참지 못하고, 오랜 기간 동안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며 앉아서도 몸을 비비꼰다거나, 허락없이 자리에서 이탈하여 그저 앞뒤로 왔다 갔다 하기도 한다. 그리고 다른 아동을 괴롭히거나, 시작한 일을 제대로 끝맺지 못하고, 부산하게 뛰어다니며, 팔다리를 끊임없이 움직이는 등 무의미하고 과잉된 행동을 한다. 또한 이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것에 집착한 나머지 게임에지면 화를 내기도 하고 상대방을 공격하기도 한다. 학교에서의 적응은 필연적으로 순조롭지 못하고 때때로 또래들에게 거부당하게 되며 주위로부터‘나쁜 아이’, ‘문제아’로 인식되어 자연히‘나는 못된 아이’, ‘아무것도 못하는 아이’등 과 같은 낮은 자기상을 형성하게 된다. 인지적 발달은 자연히 다른 아동들 보다 지연 되므로 때때 ‘바보’라는 소리를 듣게 된다. 그러므로 많은 아동의 주의를 끌기 위해 부정적인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임혜숙, 송인섭, 1999).
참고문헌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황 성철 공동체
프로포절 작성의 실제 김 승의 공동체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우수프로포절 사례집 2011
사회복지 욕구조사와 프로그램 평가 강 병로 나눔의 집
사회문제론 박 정호 여 진주 신정
보건복지가족부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사회복지프로그램,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초기 아동의 인지력 개선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실천기술론)문제해결 모델과 해결중심 모델을 비교해 보고 해당 모델의 유용성과 한계점에 대해 논하시오. (0) | 2023.08.30 |
---|---|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중심모델의 주요 기술을 활용하여 해결하는 연습을 해보고, 그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시오. (0) | 2023.08.22 |
사회복지 관련 기사 분석 (0) | 2023.08.02 |
복지 ) 노인장기요양보험에 있어 가족수발자 지원의 필요성과 구체적 개입 방안을 기술하고 본인의 의견을 작성하시오 (0) | 2023.07.27 |
[사회복지행정론] 우리나라 사회복지행정의 역사를 설명하시오. (0) | 2023.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