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백제불교와 법화사상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백제불교와 법화사상”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대통사와 대통사지
1. 대통사의 위치
2. 대통사와 연기 전설

Ⅲ. 대통사지의 유물

Ⅳ. 대통사의 창건연대와 목적
1. 대통사 창건연대와 목적의 기존입장
2. 대통사 창건연대와 목적의 새로운 견해

Ⅴ. 법화사상
1. 법화사상과 대통불
2. 성왕계의 성족(聖族)관념과 신성성 고찰

Ⅵ. 사택지적비와 백제불교사상
1. 사택
2. 사택지적과 대통불지적비

Ⅶ. 미륵사 사리봉안기와 법화사상
1. 미륵사 사리봉안기
2. 사택왕후의 법화신앙

Ⅷ. 맺음말

Ⅸ. 참고 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 론
백제 불교에 대한 연구는 문헌기록보다 불교관련 유적을 고고학적으로 조사함으로써 큰 진전이 이루어졌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백제 寺址(사지)의 확인은 백제불교의 이해를 위한 관건일 수밖에 없었고, 그로 인해 백제 사지에 대한 다양한 노력이 경주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널리 알려져 있듯이 백제사회에 불교가 수용된 것이 이미 한성 도읍기에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당시에 창건된 사찰이나 불상, 탑 등 불교 문화재에 대한 내용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형편이다. 특히 불교 공인 후에 한성에 창건되었다는 사찰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이외에 더 이상의 사찰 창건 기록이 없기 때문에 한성시대에 백제가 얼마나 많은 사찰을 창건하였는지도 알 수 없으며, 당시의 사찰이 어떠한 구조를 갖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자세한 것을 알 수 없는 실정이다. 대통사지는 그런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적지 않은 것이다. 백제는 고구려의 남진세력에 밀려 웅진으로 천도한 다음에 한성시대와 마찬가지로 수도 주변에 또 다시 사찰을 건립하였던 것으로 믿어왔고, 그런 맥락에서 볼 때 대통사야 말로 웅진시대를 대표하는 백제시대 사찰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Ⅱ. 대통사와 대통사지
1. 대통사의 위치
대통사의 위치에 대해서는 이미 일제시기부터 현재의 공주시 반죽동 일대가 바로 대통사지라는 사실이 알려져 왔다. 이곳에는 현재 당간지주가 자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통사지 출토로 전하는 석조가 국립 공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고, “대통”銘(명)의 평기와, 연화문막새기와 등도 있어 당간지주가 위치한 반죽동 일대가 대통사 터라는 데에 의문의 여지가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당간지주와 석조가 처음부터 이곳에 자리하고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후대에 옮겨진 것인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사정을 알 수 없었으며, 寺域(사역)을 확인하는데 결정적인 자료가 되는 塔址(탑지)에 대해서도 별반 알려진 것이 없었기 때문에 대통사지의 정확한 사역은 알 수 없었다. 이 지역이 대통사라는 사찰이 위치하였던 지역이라고 믿어오면서도 고고학적 측면에서의 구체적 정밀 조사는 진행된 바가 없어 정확한 사찰의 위치와 규모 구조 등에 대해서는 정확한 것을 알 수 없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조경철, 백제 성왕대 대통사 창건의 사상적 배경, 국사관논총 제98집, 2002
조경철, 백제의 지배세력과 법화사상, 한국사상사학 12권, 1999
조경철, 백제불교사의 전개와 정치변동,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6
조경철, 백제 사택지적비에 나타난 불교신앙, 역사와현실 통권52호, 2004
조경철, 백제 익산 미륵사 창건의 신앙적 배경, 한국사상사학 32, 2009
이남석ㆍ서정석, 『대통사지』공주대학교박물관ㆍ충청남도공주, 2000
박현숙, 백제 무왕의 익산 경영과 미륵사, 한국사학보 제36호, 2009
이도학, 미륵사지 서탑 사리봉안기의 분석, 백산학보 제83호, 2009
청수조전, 백제 대통사식 수막새의 성립과 전개, 백제연구 38, 2003
근등고일, 백제 시기의 효사상 수용과 그 의미, 백제연구 42, 2005
역사문화수첩(한국역사연구회 편), 역민사, 2000
네이버백과사전/ 두산대백과사전/ 국립공주박물관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백제불교와 법화사상”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