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실습_열성경련_간호과정_레포트”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열성경련이 있는 아동 (사례)
3. 간호력
4. Vital Sign
5. 투약
6. 진단검사 결과
7. 간호과정 적용
8. 출처
본문내용일부
1. 문헌고찰
1) 정의
열성경련은 만 3개월에서 5세 사이의 아동에서 열이 있을 때 발생하는 경련으로, 아동기 경련 중 가장 흔한 유형이다. 호발연령은 6개월에서 36개월 사이이며, 5세 이전의 아동의 3-4%가 적어도 1회 이상의 열성경련을 경험한다. 우리나라에서 열성경련의 발생 빈도를 정확히 조사한 바는 없으나 약 5%가 열성경련을 경험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열성경련은 재발을 하는 경향이 있어, 첫 번째 열성경련을 경험한 아동의 약30%에서는 열성경련이 재발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열성 경련은 남아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고 열성 경련의 가족력이 있는 아동에게서 나타날 위험이 크다. 열성 경련은 열과 관련되어 있고 이런 발작은 일반적으로 양성이지만 아동과 가족 모두를 매우 놀라게 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예후는 매우 좋다.
체온은 각각 39.5℃ 이상, 38.5-39.4℃와 38.4℃이하의 경우로 나누어 관찰한 결과를 보면 초발연령이 6-18개월인 환아는 체온이 낮은 군과 높은 군에서의 재발이 각각 21명(42.0%) 및 5명(13.5%)으로 초회 열성 경련의 체온이 낮을수록 재발할 위험이 4.6배 높아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으며 이는 이전의 보고3)와 유사하다. 19-30개월 연령 군에서는 체온이 낮은 군과 높은 군에서의 재발은 각각 8명(38.12%) 및 5명(19.2%)으로 초회 열성경련의 체온이 낮을수록 재발할 위험이 2.6배 높았지만 통계학적으로 의미는 없다.
2) 원인
(1) 고열
‣ 열성 경련이 생기는 기전은 확실히 모른다. 그러나 열이 날 때 뇌가 미숙해서 열성 경련이 일어난다는 설이 정설로 통한다.
‣ 발작이 빠른 체온상승을 유도하는지의 여부는 확실치 않다.
‣ 대게 생후 6개월 5세까지의 소아에서 체온이 갑자기 상승할 때 경련이 일어난다.
5세 이후에는 드물다.
‣ 남자는 여자보다 빈도가 2배가 된다.
(2) 감염
‣ 독감, 돌발성 발진, 홍역 등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나, 편도선염, 폐렴, 이질, 살모넬라 등 박테리아 성 전염병을 앓을 때 나는 열로 열성 경련이 생길 수 있다.
어떤 전염병을 막 앓기 시작할 때 나는 열로 열성 경련이 생길 수도 있고 전염병을 몇 시간 또는 하루 이틀 동안 앓고 있는 중 갑자기 고열이 나면서 열성경련을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아동청소년 간호학1 (수문사), 제 16장 아동의 발열관리 열성경련 p418.
열성경련 시 발열정도와 열성경련의 재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 과학 교실)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87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MSD매뉴얼, www.msdmanuals.com
어린이_질병예방 부모의 침착한 대처가 가장 중요한 소아 열성경련
https://insu.greenpio.com/MetLife360health/healthinfo/hi_viw.asp?key=673&page=4&strSearchWord=&strSearchString=
“신생아경련”, 세브란스 병원 질환정보
https://sev.iseverance.com/health_info/disease_info/view.asp?con_no=21000
“신생아경련”, 서울 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24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실습_열성경련_간호과정_레포트”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실습 심근경색증(MI) Case Study 간호과정 (강추) (0) | 2023.07.21 |
---|---|
모성간호학 당뇨 CASE / 교수님 피드백 완료 (0) | 2023.07.21 |
여성간호학실습 제왕절개 케이스스터디 (0) | 2023.07.20 |
Malignant neoplasm (0) | 2023.07.20 |
성인간호학실습 - 천식 asthma case CASE STUDY, 간호과정 및 진단 3개 이상 + 교수님 피드백 반영 (0) | 2023.07.19 |